교과목명을 클릭하시면 과정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학수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자기 학습 시간 |
영역 | 학위 |
이수 학년 |
비고 | 언어 |
개설 여부 |
---|---|---|---|---|---|---|---|---|---|
ART3049 | 스튜디오아트4 | 3 | 6 | 전공 | 학사 | 3 | 한 | Yes | |
회화의 전통성 인식과 현대성 표현을 모색하며 그 상호관계를 이해하고 계승적인 조형언어를 습득하는데 중점을 둔다. 또한 학생 개개인의 독창적인 미술 표현방법론을 보다 확장하고 논리적 근거를 다지는 심화과정이다. | |||||||||
ART3050 | 스튜디오아트5 | 3 | 6 | 전공 | 학사 | 4 | 한 | Yes | |
회화의 전통성 인식과 현대성 표현을 모색하며 그 상호관계를 이해하고 계승적인 조형언어를 습득하는데 중점을 둔다. 또한 졸업작품을 제작하기 위한 수업으로 학생 개개인의 작업 개념에 대한 비평적 분석과 표현방법의 폭 넓은 실험을 한다. | |||||||||
ART3051 | 스튜디오아트6 | 3 | 6 | 전공 | 학사 | 4 | 한 | Yes | |
회화의 전통성 인식과 현대성 표현을 모색하며 그 상호관계를 이해하고 계승적인 조형언어를 습득하는데 중점을 둔다. 또한 이 수업은 졸업작품을 제작하기 위한 수업이다. 나아가 졸업전시를 준비하고 이후에 작가 또는 미술관련 업무 종사자로 활동할 수 있는 실질적인 능력을 배양한다. | |||||||||
ART3052 | 아트라이팅 | 3 | 6 | 전공 | 학사 | 4 | 한 | Yes | |
오늘날 미술과 글쓰기는 동떨어질 수 없는 분야이다. 이 과목은 미술 전공 학생들이 작업 노트, 전시 서문, 작가론 등 다양하고도 특수한 미술 글쓰기를 학습하는 과목이다. 읽고 쓰고 합평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작품의 아이디어(idea)와 개념을 문장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술과 능력을 함양할 것이다. | |||||||||
ART3053 | 예술사진 | 3 | 6 | 전공 | 학사 | 2-3 | - | No | |
이 강의의 목적은 사진이라는 매체를 사용하여 예술의 표현을 연구하는 수업이다. 수업에서는 사진 도구의 기초 사용법을 배우는 기술적 영역과 이를 통해 다양한 상상력을 표현하는 예술적 영역으로 구분되어 수업이 진행된다. | |||||||||
ART3054 | 아트리서치 | 3 | 6 | 전공 | 학사 | 3 | 한 | Yes | |
현대미술의 주요 경향인 리서치 기반의 미술의 접근법을 학습하는 과목이다. 미술 제작의 관점에서 특정 주제에 대한 역사적 이해, 문헌 조사, 자료 수집의 방법을 익힌다. 조사 내용을 말과 글로 기술하는 방법, 그리고 자신의 리서치를 작업과 연관시킬 수 있는 기술과 능력을 함양한다. | |||||||||
ART3055 | 퍼포먼스와융복합미술 | 3 | 6 | 전공 | 학사 | 3 | 한 | Yes | |
미술의 제작과 결과에 필연적으로 개입되는 퍼포먼스를 독립적인 주제로 삼아 학습하는 과목이다. 학생들은 미술 뿐만 아니라 영상, 연기, 무용에 이르는 예술의 다양한 분과와 협업함으로써 융복합 예술로서의 퍼포먼스의 의미를 직접 인식하고 경헙한다. | |||||||||
ART3060 | 영상과미술 | 3 | 6 | 전공 | 학사 | 3 | 한 | Yes | |
개인 미디어로 다변화되어가는 영상 매체의 변화를 이해하고, 자신만의 소리, 빛, 시간 속 미술 표현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 |||||||||
ART3061 | 융합캡스톤디자인아트아카이브 | 3 | 6 | 전공 | 학사 | 2 | 한 | Yes | |
서울 시립 미술관 미술 아카이브와 연계하여 아카이브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잠재적 전문가들과의 협업을 통해 전시 활동과 작품 제작을 지원한다. | |||||||||
ART3062 | 작가연구세미나 | 3 | 6 | 전공 | 학사 | 4 | 한 | Yes | |
미술사의 주요 작가를 선별해서 세미나 형식으로 심도있게 연구하는 수업이다. 학생들은 해당 작가의 연대기, 작품, 관련 텍스트, 컬렉션 등을 조사하고 이에 대한 발표, 토론한다. 수업을 통해 작가론 연구의 방법을 습득하고, 미술사 연구의 기초 지식을 함양한다. | |||||||||
ART3063 | 현대미술세미나 | 3 | 6 | 전공 | 학사 | 4 | 한 | Yes | |
현대 미술에 관한 텍스트를 읽고 발표, 토론하는 수업이다. 학생들은 수업을 통해 현대 미술 이론과 역사, 비평, 미술 현장을 균형있게 학습하고 자신의 작업을 전개하기 위한 지적 토대를 구축한다. | |||||||||
ART4002 | 미술관실습연구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미술학과 | - | No | |
미술관에서의 실습 경험을 통해 자신의 연구 능력을 함양하고 한국 미술에 대한 역사적 이해를 심화시키는 과목이다. 수강자는 특정 미술관이나 갤러리와의 협업 하에 전시, 교육, 행정, 작품 관리와 관련된 실질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 |||||||||
ART4003 | 미술연구세미나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1-4 | 미술학과 | 한 | Yes |
미술학 관련 주제를 정해서 세미나 형식으로 진행하는 수업이다. 관련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으로 텍스트를 읽고 이해하고 토론함으로써, 미술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돕고 석사 과정의 경우 논문 자격 시험을 위한 지식을 구축한다. | |||||||||
CCS2001 | 문화를보는눈 | 3 | 6 | 전공 | 학사 | 2-3 | 비교문화전공 | 한 | Yes |
비교문화를 전공하기 위한 기반 과목으로 문화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정립한다. 문화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다양한 방식들을 통해 문화라는 용어가 뜻하는 바를 다각도에서 이해하고, 이후 문화를 바라보는 기초적인 시각을 배양한다. | |||||||||
COS2016 | 시·서·화의미학세계 | 3 | 6 | 전공 | 학사 | 2-3 | 유학.동양학과 | 한 | Yes |
동아시아예술의 중요한 소재인 시·서·화의 바탕에 있는 미학적 세계관과 가치관을 분석한다. 특히 동아시아미학의 개념과 역사적 흐름 및 그 철학적 특징 등의 분석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 글씨, 그림, 시 등에 내재해 있는 동아시아 예술철학을 검토하고 이들 작품에 대한 새로운 접근 안목을 배양한다. | |||||||||
DES2015 | 포토스튜디오 | 3 | 6 | 전공 | 학사 | 2-3 | 디자인학과 | 영 | Yes |
일반적인 사진이론과 인물사진, 풍경사진, 흑백사진 등의 실기를 병행하여 기초사진기술을 습득한다. 일반적인 사진이론과 인물사진, 풍경사진, 흑백사진 등의 실기를 병행하여 기초사진기술을 습득한다 | |||||||||
DES2026 | 포토&커뮤니케이션 | 3 | 6 | 전공 | 학사 | 2-3 | 디자인학과 | 영 | Yes |
광고디자인을 위한 사진촬영으로 난이도가 높은 제품사진, 표지 모델사진, 음식물 사진, Interprocessing(특수사진)등을 실습을 통해 공부한다. | |||||||||
DES4001 | 융합캡스톤디자인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디자인학과 | 한 | Yes | |
디자인, 예술, IT, 경영학, 공학 등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모여 미래의 신기술 및 서비스 등 창의적 디자인 상품의 개발을 연구하고 결과물의 프로토타잎까지를 진행하며 우수 아이디어는 지속적으로 그 활용을 지원한다. 현 학문 단위별 접근의 한계를 극복하고 융합을 통한 새로운 혁신적 가치를 창조하고 창의력 및 PBL(Problem Based Learning) 중심의 문제해결 능력, Team Project 수행능력의 습득을 목표로 한다. | |||||||||
DKL2015 | 현대문화론 | 3 | 6 | 전공 | 학사 | 2-3 | 국어국문학과 | 한 | Yes |
문화의 개념과 본질을 역사적 관점과 최근의 다양한 문화이론을 통해 살펴보고, 갈수록 확대되어 가는 문화의 구체적 현상과 그 문화현상의 사회적 기능및 이념등을 분석한다. | |||||||||
FTM2005 | 촬영기초1 | 2 | 4 | 전공 | 학사 | 1 | 영상학과 | 한 | Yes |
스틸사진에서부터 비디오제작, 필름을 이용한 영화제작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에서 필수적인 촬영 및 조명에 대한 매커니즘과 미학을 심도 있게 탐구하고 실습한다. 카메라의 구조, 렌즈의 종류와 특성, 피사계의 심도(depth of field), 필름의 구조와 감도 및 그에 따른 특성, 노출측정법, 조명의 종류와 설치방법 등에 대해 총체적으로 탐구한다. 강의는 이론과 실습으로 이루어지며 주 교재는 바바라 런던의 <<사진학 강의>>를 사용하고 3번의 과제 발표를 통해 강의와 연계한다. | |||||||||
FTM2006 | 촬영기초2 | 3 | 6 | 전공 | 학사 | 1 | 영상학과 | 한 | Yes |
촬영기초 1의 연속 강좌로 동영상촬영의 기본이론을 실습을 통해 배운다. 즉 촬영기초1에서 습득한 내용을 토대로 필름 및 비디오카메라의 작동원리, 샷(shot)의 종류, 카메라의 움직임, 사이즈의 변화, 조명기의 구조 및 원리, 기본 3각 조명, 영화작품 분석을 통한 미장센과 촬영방법의 이해, 기초적인 편집방법을 추가적으로 학습하며 2차례의 개인과제와 기말 조별과제를 통해 10분 분량의 단편영화를 제작한다. | |||||||||
FTM2043 | 애니메이션기초 | 3 | 6 | 전공 | 학사 | 2 | 영상학과 | 영 | Yes |
애니메이션의 역사와 표현의 세계를 이해하고 다양한 상상력과 기법에 접근한다. 실사기법을 활용하는 픽셀레이션에서 2차원, 3차원의 키프레임 애니메이션 및 복합 미디어(Mixed Media)까지 스토리라인을 중심으로 다양한 표현을 실험한다. | |||||||||
FTM2067 | 캐릭터애니메이션 | 3 | 6 | 전공 | 학사 | 1-4 | 영상학과 | 한 | Yes |
캐릭터를 활용한 애니메이션 제작 및 실질적인 사업전개에 대하여 심도 있게 논의한다.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성공적인 시장진입에 대한 사례를 국내와 해외시장의 선례를 통해 비교 분석한다. 선례를 바탕으로 캐릭터를 개발하고 이를 애니메이션과 시장에 적용한다. | |||||||||
FTM3060 | 애니메이션연출 | 3 | 6 | 전공 | 학사 | 1-4 | 영상학과 | 한 | Yes |
애니메이션의 역사와 표현의 세계를 이해하고 다양한 상상력과 기법에 접근한다. 실사기법을 활용하는 픽셀레이션에서 2차원, 3차원의 키프레임 애니메이션 및 복합 미디어(Mixed Media)까지 스토리라인을 중심으로 다양한 표현을 실험한다. | |||||||||
GER3004 | 유럽미술과음악의이해 | 3 | 6 | 전공 | 학사 | 3-4 | 독어독문학과 | 한 | Yes |
유럽 문화사를 배경으로 각 시대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작품 또는 유럽 음악과 미술사의 대표적인 작품들을 감상 풀이 분석한다. 아울러 미술과 음악 또는 다른 예술영역 상호간의 연관을 고찰한다. 강의의 첫째 목표는 유럽 예술작품의 이해를 돕는데 있고 이 과정을 거치면서 예술이란 무엇인가 그리고 '나'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라는 문제를 언제나 핵심적 주제로 삼는다. 수강학생에게 특정한 지식은 요구하지 않지만 적극적인 관심과 참가를 요구한다. 강의는 원칙적으로 슬라이드 비데오 CD등 시청각자료를 이용하여 작품을 감상하면서 진행한다. | |||||||||
HAN2003 | 서예지도법1 | 3 | 6 | 전공 | 학사 | 1 | 한문교육과 | 한 | Yes |
서예실습과 금석문 자료의 탁본 실습을 주로 하는 교과이다. 한자에 대한 이해를 깊게하며, 한문교사로서의 자질 향상에도 도움을 주기 위한 교과이다. | |||||||||
HAN2010 | 서예지도법2 | 3 | 6 | 전공 | 학사 | 2-3 | 한문교육과 | 한 | Yes |
서예지도법1에 이어서 서예실습을 체계적으로 하는 교과이다. 한자의 원류와 이에 대한 이해를 폭넓게 하는 한편 한문교사의 자질향상에 도움을 주도록 한다. | |||||||||
KLC2009 | 금석서예 | 3 | 6 | 전공 | 학사 | 2-3 | 한문학과 | - | No |
서예 실습과 금석문 자료의 탁본 실습을 주로 하는 교과로 한자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며, 한문학을 전공하는 자로서의 자질 향상에 도움을 준다. | |||||||||
PHL2012 | 예술철학 | 3 | 6 | 전공 | 학사 | 2-3 | 철학과 | 한 | Yes |
예술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서 생기는 개념적 문제들을 논의한다. 다음의 문제가 제기될 것이다. 어떻게 예술은 정의되는가? 무엇이 예술작품을 아름답고, 감동적이고, 추하게 만드는가? 예술은 상징인가? 어떤 종류의 의미와 지식을 예술은 전달해 주는가? 도대체 예술은 무엇에 대한 진리를 드러내주는 것인가? | |||||||||
SOA2003 | 조형예술미학 | 2 | 4 | 전공 | 학사 | 1 | 예술대학 | 한 | Yes |
이 과목은 예술학부 6개 전공 1학년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개설된 과목이다. 미술, 건축, 디자인 등의 조형예술에서 '미적인 것'의 원리와 의미 그리고 그 사회적 기능과 역사적 발전과정을 이해하여 예술가로서 인간과 예술을 바라보는 동시대적 인식을 갖추도록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