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명을 클릭하시면 과정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학수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자기 학습 시간 |
영역 | 학위 |
이수 학년 |
비고 | 언어 |
개설 여부 |
---|---|---|---|---|---|---|---|---|---|
ART4002 | 미술관실습연구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 | No | ||
미술관에서의 실습 경험을 통해 자신의 연구 능력을 함양하고 한국 미술에 대한 역사적 이해를 심화시키는 과목이다. 수강자는 특정 미술관이나 갤러리와의 협업 하에 전시, 교육, 행정, 작품 관리와 관련된 실질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 |||||||||
ART4003 | 미술연구세미나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1-4 | 한 | Yes | |
미술학 관련 주제를 정해서 세미나 형식으로 진행하는 수업이다. 관련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으로 텍스트를 읽고 이해하고 토론함으로써, 미술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돕고 석사 과정의 경우 논문 자격 시험을 위한 지식을 구축한다. | |||||||||
ART5004 | 동양회화사특강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 | No | |
동양회화사, 특히 한자문화권에 속한 중국과 일본회화의 사적 흐름과 그 양식적 전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한국미술과의 공통성 및 차별성에 대한 인식을 도모한다. | |||||||||
ART5005 | 실기론세미나1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한 | Yes | |
작품제작에 있어서 시작단게에서부터 마무리 과정에 이르기까지 전과정을 연구하며 작품의 비교분석과 기법의 다양한 시도를 통하여 작가의 새로운 정신적 세계의 표현언어를 개발토록 한다. | |||||||||
ART5006 | 실기론세미나2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한 | Yes | |
작품제작에 있어서 시작단게에서부터 마무리 과정에 이르기까지 전과정을 연구하며 작품의 비교분석과 기법의 다양한 시도를 통하여 작가의 새로운 정신적 세계의 표현언어를 개발토록 한다. | |||||||||
ART5007 | 연구조사방법론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한 | Yes | |
학생마다 특정주제를 선정하여 현장학습을 통해 조사벙법 연구를 행하는 수업이다. 박물관, 미술관, 화랑 등을 견학하면서, 한편으로는 이론적 기반을 다지고, 한편으로는 실제 작품에 대한 감상과 평가를 진행함으로써 이론과 실제를 연결시키는 과목이다. | |||||||||
ART5009 | 작품분석세미나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한 | Yes | |
미술사를 통하여 -ism의 변천에 의한 이론적 배경의 지식과 더불어 그 명작들의 작품의 분석적 방법을 익히고 자신의 작품을 스스로 분석, 비교하며 반성의 기회가 되도록 한다. | |||||||||
ART5010 | 작품연구1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 | No | |
체계적으로 연구된 작품에 대한 이해와 방법적인 분석을 구체화시켜 개성적인 미적 시각으로 작품을 전개시켜 작가로써의 방향을 모색케한다. | |||||||||
ART5011 | 작품연구2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 | No | |
고전에서 현대에 이르는 미학사의 변천에 촛점을 맞추어 예술의 목적과 기능에 대한 미학적 시각을 이해한다. | |||||||||
ART5012 | 작품연구3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한 | Yes | |
연구된 작품의 여러가지 방법과 이론을 현대성과 전통성의 미에 접목시켜 독창적인 작품세계를 이룩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 |||||||||
ART5013 | 작품연구4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한 | Yes | |
작품연구2의 과정을 더욱 심화하고 학생작품의 예술적 정당성을 확보하도록 유도함 | |||||||||
ART5018 | 한국미술사학특강1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 | No | |
야나기 무네요시, 세끼노 등 일본학자들의 한국 미술관을 비롯하여, 맥퀸, 제켈, 괴퍼 등 구미학자들의 한국미술관, 그리고 고유섭, 최순우, 김원룡등 우리나라 학자들의 한국미술관을 검토해봄으로써 한국미술의 성격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 |||||||||
ART5019 | 한국미술사학특강2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 | No | |
한국미술사에 있어서 "불교미술"은 주요한 위치를 점유하고 있다. 불교미술의 원류 및 그 이론적, 도상적 유형, 사상사적 배경 들을 기반으로 해서 삼국시대의 불교조각, 통일 신라시대의 석굴암조각, 고려시대의 불화 및 불상조각, 조선조의 탱화, 벽화 등에 대해 고찰을 한다. | |||||||||
ART5021 | 현대미술론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한 | Yes | |
현대미술의 시점을 어디에 둘 것인가하는 문제와 아울러, 현대미술의 전개과정, 각 장르간의 영역분리의 혼돈, 미개미술이나 원시미술의 영향문제, 예술과 기술간의 문제, 21세기 미술에 대한 전망문제 등을 살펴본다. | |||||||||
ART5022 | 현대미학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한 | Yes | |
현대미학의 중심을 이루는 이론들, 이를테면 크로체미학,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적 접근법 등에 대해 고찰해보고, 오늘날 미학이 안고 있는 과제 특히 "예술학" 과의 공존문제 등을 살펴본다. | |||||||||
ART5023 | 현대회화론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 | No | |
20세기 이후의 제반 미술사조와 전개과정, 즉 다다와 초현실주의, 액션페인팅, 추상표현주의, 옵아트와 팝아트, 특히 모더니즘과 포스트 모더니즘의 대결구도를 점검해본다. | |||||||||
ART5024 | 회화창작1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한 | Yes | |
표현활동을 통하여 재료, 화면 구조, 표현의 역사와 기법등의 연구를 하면서 개성적이고 독창적이며 한국적 표현 방법의 개발에 중점을 두고 연구한다. | |||||||||
ART5025 | 회화창작2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 | No | |
표현활동을 통하여 재료, 화면 구조, 표현의 역사와 기법등의 연구를 하면서 개성적이고 독창적이며 한국적 표현 방법의 개발에 중점을 두고 연구한다. | |||||||||
ART5026 | 서양회화사특강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 | No | |
원시시대 미술로부터, 이집트 미술, 그리스와 로마미술, 중세미술, 르네상스와 바로크미술, 로코코미술, 19세기와 20세기의 미술 가운데 매학기마다 한 두 시기를 선택하여 그 시대미술이 안고 있는 미술양식과 "예술정신"등을 조감해 본다. | |||||||||
ART5028 | 미술사연습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한 | Yes | |
"미술사"가 안고 있는 여러가지 문제점을 토픽별로 나누어 살펴본다. 미술의 원류, 미술의 사회적 기능, 문화사와 미술사, 미학 및 미술비평과 미술사와의 관계, 작가, 패트론, 미술사가와의 유기적 관련성 등이 중점적으로 논의된다. | |||||||||
ART5029 | 미술과시각문화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2 | 한 | Yes | |
미술과 시각문화 사이의 관계를 역사와 이론을 통해 학습하는 수업이다. 학생들은 미술과 시각문화의 관계성에 대한 텍스트를 읽고 이해함으로써, 미술학 연구의 바운더리를 확장하고 각자의 연구조사방법을 개발한다. | |||||||||
ART5030 | 회화기법연구1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1-4 |
한 | Yes | |
미술의 전통적인 기법들을 심도있게 분석하여 현대의 다양성에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확장시킨다. 아울러 미술작품의 개인성과 사회성의 관계를 이해하도록 한다. | |||||||||
ART5031 | 회화기법연구2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1-4 |
한 | Yes | |
전통적 회화의 여러가지 기법을 심도있게 분석하고 현대의 다양성에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나름대로의 기법을 독창성, 특수성, 보편성에 기반을 두고 제반 표현 기법들을 전개한다. | |||||||||
ART5033 | 미술읽기와쓰기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 | No | ||
미술 전공 학생들의 텍스트 읽기와 쓰기 능력을 함양하는 과목이다. 수업은 국영문 텍스트의 독해와 분석, 글쓰기와 합평, 논문 작성의 방법을 습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 |||||||||
ART5034 | 동아시아미술주제세미나1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 | No | ||
동아시아 미술의 풍부한 전통과 역사 속에서 주제를 선택하고 세미나 형식으로 진행하는 수업이다. 관련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으로 텍스트를 읽고 이해하고 토론함으로써, 각자의 연구조사방법을 개발하고 논문 작성까지 연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 |||||||||
ART5035 | 동아시아미술주제세미나2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한 | Yes | ||
동아시아 미술의 풍부한 전통과 역사 속에서 주제를 선택하고 세미나 형식으로 진행하는 수업이다. 관련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으로 텍스트를 읽고 이해하고 토론함으로써, 각자의 연구조사방법을 개발하고 논문 작성까지 연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 |||||||||
ART5036 | 미술주제세미나1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 | No | ||
현대미술의 의제와 관련된 주제를 정해서 세미나 형식으로 진행하는 수업이다. 관련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으로 텍스트를 읽고 이해하고 토론함으로써, 각자의 연구조사방법을 개발하고 논문 작성까지 연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 |||||||||
ART5037 | 미술주제세미나2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 | No | ||
현대미술의 의제와 관련된 주제를 정해서 세미나 형식으로 진행하는 수업이다. 관련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으로 텍스트를 읽고 이해하고 토론함으로써, 각자의 연구조사방법을 개발하고 논문 작성까지 연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 |||||||||
ART5038 | 작품분석세미나3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 | No | ||
미술사를 통하여 –ism의 변천에 대한 이론적 배경의 지식과 더불어 그 명작들의 작품의 분석적 방법을 익히고 자신의 작품을 스스로 분석, 비교하며 반성의 기회가 되도록 한다. | |||||||||
ART5039 | 작품분석세미나4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 | No | ||
미술사를 통하여 –ism의 변천에 대한 이론적 배경의 지식과 더불어 그 명작들의 작품의 분석적 방법을 익히고 자신의 작품을 스스로 분석, 비교하며 반성의 기회가 되도록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