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명을 클릭하시면 과정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학수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자기 학습 시간 |
영역 | 학위 |
이수 학년 |
비고 | 언어 |
개설 여부 |
---|---|---|---|---|---|---|---|---|---|
ART2005 | 발상과표현1 | 3 | 6 | 전공 | 학사 | 2 | 한 | Yes | |
미술학의 소재를 개인의 생각 및 표현 수단으로 삼는 연습을 통해, 다양한 재료와 표현의 기법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관점을 획득한다. | |||||||||
ART2006 | 발상과표현2 | 3 | 6 | 전공 | 학사 | 2 | 영 | Yes | |
학생 개인의 미술 소재와 기법을 분석하고 발전시켜 개인의 특수성, 미술사적, 사회적 관계에서의 미술과 확장한다. | |||||||||
ART2031 | 한국미술사1 | 3 | 6 | 전공 | 학사 | 1 | 한 | Yes | |
구석기시대로부터 조선왕조시대 말에 이르는 시기의 한국의 조형미술들을 고찰해봄으로써 우리 미술이 지닌 성격과 그 특징을 살펴본다. 박물관 탐방과 슬라이드 작품들을 통해 구체적인 작품감상을 필수적인 전제로 하는 수업이다. | |||||||||
ART2032 | 한국미술사2 | 3 | 6 | 전공 | 학사 | 1 | 한 | Yes | |
구석기시대로부터 조선왕조시대 말에 이르는 시기의 한국의 조형미술들을 고찰해봄으로써 우리 미술이 지닌 성격과 그 특징을 살펴본다. 박물관 탐방과 슬라이드 작품들을 통해 구체적인 작품감상을 필수적인 전제로 하는 수업이다. | |||||||||
ART2033 | 서양미술사1 | 3 | 6 | 전공 | 학사 | 2 | 한 | Yes | |
원시미술에서 현대미술에 이르는 서양미술의 방대한 흐름들을 추적해 봄으로써 예술에 대한 양식적 접근과 아울러 그 배후에 놓여진 정신사적인 접근을 시도하는 것이 강의의 목적이다. | |||||||||
ART2034 | 서양미술사2 | 3 | 6 | 전공 | 학사 | 2 | 한 | Yes | |
원시미술에서 현대미술에 이르는 서양미술의 방대한 흐름들을 추적해 봄으로써 예술에 대한 양식적 접근과 아울러 그 배후에 놓여진 정신사적인 접근을 시도하는 것이 강의의 목적이다. | |||||||||
ART2036 | 현대미술의쟁점 | 3 | 6 | 전공 | 학사 | 3 | 한 | Yes | |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 전개된 현대사회의 다양한 이슈들에 대해 현대미술은 어떻게 대응하고 있으며 패러다임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를 연구해본다. 또한 포스트모더니즘의 다원주의 담론 이후 나타난 현대미술의 새로운 방법론과 최근의 국제적인 미술의 흐름을 이해하고 조망해봄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자기 정체성과 동시대의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배경이 접목된 작품을 제작하는데 실질적인 정보를 주고자 한다. | |||||||||
ART2038 | 수묵기법1 | 3 | 6 | 전공 | 학사 | 1 | 영 | Yes | |
동양회화의 기본원리 중 대표적인 골법 용필, 여백 space의 활용 등 기초적인 표현 방법을 익혀, 정․중․동의 근본 특성을 알 수 있도록 하고 기본 이론을 포함한 입문 과정을 거쳐 기본 동양 예술의 사상과 개념, 표현력 등을 활용한 지․필․묵의 운용 방법을 숙지하도록 한다. | |||||||||
ART2039 | 수묵기법2 | 3 | 6 | 전공 | 학사 | 1 | 한 | Yes | |
입문과정 1에서 배운 내용 중 각종 대상물의 특징적인 준법과 발림(톤 정리)등을 통하여 자연을 어떻게 작품으로 표현해나가며 구도의 포지는 무엇이 바람직한지, 사계절의 표현은 어떻게 하는지를 배우고, 실 내․외의 소품 제작을 통하여 스스로 응용하고 과제를 모색, 해결해나가는 방법을 깨닫도록 한다. | |||||||||
ART2040 | 스튜디오아트1 | 3 | 6 | 전공 | 학사 | 2 | 한 | Yes | |
회화의 전통성 인식과 현대성 표현을 모색하며 그 상호관계를 이해하고 계승적인 조형언어를 습득하는데 중점을 둔다. 또한 미술사와 실기를 융합한 기초적인 과정으로 학생 개인에 적합한 매체와 표현 방법을 모색하여 각자 창의적인 작품을 제작한다. | |||||||||
ART2041 | 스튜디오아트2 | 3 | 6 | 전공 | 학사 | 2 | 한 | Yes | |
회화의 전통성 인식과 현대성 표현을 모색하며 그 상호관계를 이해하고 계승적인 조형언어를 습득하는데 중점을 둔다. 또한 전통미술과 현대미술의 다양한 이론을 작품 창작에 적용하여 학생 개인에 적합한 매체와 표현기술을 모색하는 기초적인 과정이다. | |||||||||
ART2042 | 디지털3D조형 | 3 | 6 | 전공 | 학사 | 2 | 한 | Yes | |
학생들은 본 수업을 통해 디지털 3D 모델링 프로그램을 다루는 법을 배우고 3D프린팅기술과 레이저컷팅기를 활용하여 창의적 입체조형물을 만들어본다. 이 수업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형태를 연구하고, 이를 표현할 수 있도록 기초 기술 습득을 목표로 한다. | |||||||||
ART2044 | 디지털2D조형 | 3 | 6 | 전공 | 학사 | 2 | 한 | Yes | |
컴퓨터를 이용한 미술 작품 만들기의 기초 수업으로 사진, 디지털 드로잉, 영상 등 다양한 2D 편집 프로그램의 기초를 배우며, 그 응용법을 터득하여 자신만의 창작 방법을 터득한다. | |||||||||
ART2045 | 한국화재료기법 | 3 | 6 | 전공 | 학사 | 2 | 한 | Yes | |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의 회화기법을 학습하고, 지지체, 바탕처리, 채색 등 다양한 회화 재료에 대한 특성과 사용법을 익힌다. 이를 기반으로 응용방법을 탐구하고, 운용방법을 심화하여 현대적이고 창의적인 자기표현을 진작시킨다. | |||||||||
ART2046 | 회화재료기법 | 3 | 6 | 전공 | 학사 | 2 | 한 | Yes | |
전통적인 서양화 재료의 기법을 익히고 현대적인 회화재료를 탐구하여 폭넓고 창의적인 자기표현 도구로 진작시킨다. | |||||||||
ART2047 | 채색기법 | 3 | 6 | 전공 | 학사 | 3 | 한 | Yes | |
동양과 서양의 색채관과 색채론에 대한 기초개념을 학습한다. 채색 재료의 특성을 이해하고 다양한 채색 기법을 실습하여, 독창적인 색채표현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
ART2048 | 프로젝트기반미술1 | 3 | 6 | 전공 | 학사 | 2 | 한 | Yes | |
프로젝트 기반의 미술을 학생들이 직접 설계해서 실행하는 수업이다. 학생들은 공공미술, 미디어아트, 융합미술 등 프로젝트 베이스의 프로젝트를 자기주도적으로 구상하고 실천해 봄으로써, 사회 속의 미술의 역할과 의미를 직접 인식, 체험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 |||||||||
ART2049 | 프로젝트기반미술2 | 3 | 6 | 전공 | 학사 | 2 | 한 | Yes | |
프로젝트 기반의 미술을 학생들이 직접 설계해서 실행하는 수업이다. 학생들은 공공미술, 미디어아트, 융합미술 등 프로젝트 베이스의 프로젝트를 자기주도적으로 구상하고 실천해 봄으로써, 사회 속의 미술의 역할과 의미를 직접 인식, 체험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 |||||||||
ART2051 | 기초입체조형 | 3 | 6 | 전공 | 학사 | 1 | 한 | Yes | |
본 수업은 사물과 물성을 공간 내에서 다루어 보는 과정에서 기초적인 구조와 조형성을 터득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생들은 기초적 도구와 공구의 사용법을 터득하고, 이를 이용해서 여러 재료로 다양한 조형적 형태를 경험한다. | |||||||||
ART2052 | 심화입체조형 | 3 | 6 | 전공 | 학사 | 1 | 한 | Yes | |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작품의 물성과 공간을 연구하고, 이를 적용해 자신만의 공감각적 작품 만들기를 시도한다. 학생들이 다양한 툴 다루기와 조각적 방법론을 습득해서, 보다 구체적이고 복잡한 만들기 과정을 수행해 내며, 조형 작품 만들기에서 자신감을 성취한다. | |||||||||
ART2053 | 기초드로잉연습 | 3 | 6 | 전공 | 학사 | 1 | 한,영 | Yes | |
회화표현의 기초과정으로 대상을 관찰하고, 해석하고, 재현하는 방법을 모색한다. 드로잉에 사용되는 매체의 특성과 사용법을 익히고, 그림의 구성, 선의 효과적인 사용, 가치, 질감, 원근법 등 기본적인 조형문법을 익힌다. | |||||||||
ART2054 | 심화드로잉 | 3 | 6 | 전공 | 학사 | 1 | 영 | Yes | |
예술적 사고와 확장된 드로잉의 재료와 형식으로 학생 개개인의 조형적 표현 도구로 심화한 개념으로서의 드로잉을 모색한다. | |||||||||
ART2060 | 설치미술과공간 | 3 | 6 | 전공 | 학사 | 1 | 한 | Yes | |
미술 작품 만들기에 공간의 개념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여 이를 해석하고, 다시 몸, 사물, 매체 등을 다양하게 활용해서 작품을 만드는 연습이다. 공간 설치에 대한 해석과 이해를 증진하며 이를 통해 본인만의 설치작품 만들기와 표현하기를 터득한다. | |||||||||
ART2061 | 동아시아의미술 | 3 | 6 | 전공 | 학사 | 3 | 한 | Yes | |
동아시아 미술의 발생과 전개, 흐름 및 상호 교류의 역사를 배우는 수업이다. 한중일 삼국의 미술에 나타난 풍부한 전통과 창조적 역량을 학습함으로써, 동아시아 고유의 미술학 재료와 표현 기법, 작가와 비평을 둘러싼 심화된 지식을 획득한다. | |||||||||
ART3023 | 전시기획프로젝트1 | 3 | 6 | 전공 | 학사 | 3 | - | No | |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그룹을 형성하고 각각의 그룹에서 전시를 기획한다. 전시의 주제를 정하고 주제에 적합한 작품을 제작하고 전시공간의 구성방법을 연구하며 도록제작을 연습하는 등 하나의 미술전시가 만들어지는 전 과정을 체험함으로써 전문가적 태도를 기른다. | |||||||||
ART3040 | 졸업작품연구1 | 3 | 6 | 전공 | 학사 | 4 | 한 | Yes | |
학생들이 개별적으로 작품의 주제와 방법을 찾아내어 졸업작품을 준비하도록 한다. 이 수업은 개인별 비평과 연구로 진행된다. | |||||||||
ART3041 | 졸업작품연구2 | 3 | 6 | 전공 | 학사 | 4 | 한 | Yes | |
학생들이 개별적으로 작품의 주제와 방법을 찾아내어 졸업작품을 준비하도록 한다. 이 수업은 개인별 비평과 연구로 진행된다. | |||||||||
ART3045 | 현대작가론1 | 3 | 6 | 전공 | 학사 | 4 | - | No | |
이 강의의 목적은 현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주요 현대 작가들의 작품세계를 탐구하는데 있다. 그들의 조형심리와 양식적 특징 그리고 현대미술에 있어서의 위상을 살펴본다. | |||||||||
ART3046 | 현대작가론2 | 3 | 6 | 전공 | 학사 | 4 | 한 | Yes | |
이 강의의 목적은 현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주요 현대 작가들의 작품세계를 탐구하는데 있다. 그들의 조형심리와 양식적 특징 그리고 현대미술에 있어서의 위상을 살펴본다. | |||||||||
ART3048 | 스튜디오아트3 | 3 | 6 | 전공 | 학사 | 3 | 한 | Yes | |
회화의 전통성 인식과 현대성 표현을 모색하며 그 상호관계를 이해하고 계승적인 조형언어를 습득하는데 중점을 둔다. 또한 학생 개개인의 독창적인 미술 표현방법론을 확립하고 발전시키는 심화과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