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명을 클릭하시면 과정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학수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자기 학습 시간 |
영역 | 학위 |
이수 학년 |
비고 | 언어 |
개설 여부 |
---|---|---|---|---|---|---|---|---|---|
FTM2078 | 공연영상디자인워크숍 | 3 | 6 | 전공 | 학사 | 1-2 | 한 | Yes | |
뮤지컬, 콘서트, 융복합공연 등에서 영상의 역할은 점차 확대되어가고 있다. 배경을 다이내믹하게 연출하기 위한 수단에서 점점 스토리텔링의 부분이 되거나 더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이에 음악이나 장면을 기반으로 영상을 제작하거나 조명이나 무대 등 다른 요소들과의 결합 등에 대해 학습한다. | |||||||||
FTM2079 | AI기반기초게임워크숍 | 3 | 6 | 전공 | 학사 | 한 | Yes | ||
이 강좌는 비디오 게임 제작의 기초 기술을 이해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종합예술로서의 게임을 제작하기 위해서 인터렉션 디자인, 프로그래밍, 애니메이션 제작, 사운드 제작 등의 기초 기술이 요구됩니다. 이 강좌는 프로그래밍 기술의 기초를 익히고 게임 제작 엔진을 활용하여 초급 수준의 게임을 제작 실습을 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본 수업에서 제공하는 내용은 향후 게임워크샵 수업에서 창의적 게임 제작을 하는 기초가 됩니다. | |||||||||
FTM2080 | 캡스톤게임디자인 | 3 | 6 | 전공 | 학사 | 한 | Yes | ||
게임디자인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게임을 구상하여 제작을 하는 단계까지 생각을 전개 시키고 완성도를 높이는 과정을 배운다. 무엇보다도 '재미'란 무엇인가를 이해하여 이를 찾고 표현하며 플레이어의 인터렉션을 계상하여 적절한 구성을 이룰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 |||||||||
FTM3033 | 영상학현장실습2 | 3 | 6 | 전공 | 학사 | 3-4 | - | No | |
학생들이 산업현장에서 직접 실습하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짐으로서 졸업 후 실무에서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 |||||||||
FTM3035 | 모션그래픽워크숍 | 3 | 6 | 전공 | 학사 | 3 | 한 | Yes | |
이 수업에서는 실사 동영상을 배제한 독자적 개체로서의 그래픽 요소들의 움직임을 통한 작품제작에 중점을 둔다. 또한 화면의 바탕공간과 그래픽 요소들의 배치와 움직임의 궤적을 통해 나타나는 새로운 조형공간을 이해한다. 실험작품제작을 통해 조형적 공간 제작과 조형언어를 바탕으로한 그래픽 요소들의 움지임을 제어한다. 여러 종류의 제작 툴과의 연계를 통한 새로운 모션그래픽 표현기법을 개발한다. | |||||||||
FTM3038 | 정신분석과영상연출 | 3 | 6 | 전공 | 학사 | 3 | 한 | Yes | |
본 강좌에서는 영화를 프로이드적인 의미에서 하나의 거대한 무의식적 실수라는 인식을 기본으로 하며, 욕망이 가장 활성화되는 곳으로의 영상을 추적한다. 영상연출에 활용되는 동일시, 시선, 관음즘, 페티시즘, 금기에 관한 사항 등 정신분석 이론을 통해 숨겨진 영상언어의 깊숙한 곳까지 영상미학적 사유를 확장한다. | |||||||||
FTM3039 | 실험영상워크숍 | 3 | 6 | 전공 | 학사 | 3 | 영 | Yes | |
현대에서 색다른 표현을 추구하는 미술이나 영상작품들의 뿌리를 추적해보면 실험영화의 유산들과 만난다. ‘실험’과 ‘전위’를 표방하는 예술은 당대 혹은 후대의 예술작품들에 영향을 미치고 그 진가를 발휘한다. 본 강좌에서는 아방가르드 영화에서부터 초현실주의 영화, 일기영화에서부터 자기 성찰적 다큐멘터리 영상 등 대안적 영상의 실험과, 영상매체에 대한 자기반영적 사유들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실습한다. | |||||||||
FTM3043 | CF워크숍 | 3 | 6 | 전공 | 학사 | 3 | 한 | Yes | |
본 수업에서는 광고 크리에이티브의 기초 요소를 배우고 그 제작과정을 다양한 실습과 분석을 통해 배운다. 학생들은 자신의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발전시켜 상대를 설득할 수 있는 프리젠테이션으로 만드는 과정을 섭렵한다. | |||||||||
FTM3048 | 영상스토리텔링2 | 3 | 6 | 전공 | 학사 | 1-4 | 한 | Yes | |
내용적 측면으로 발상, 설정, 인물 캐릭터의 기질과 성향과, 형식의 측면으로 플롯의 패러다임, 서사적 시간성, 공간과 배경의 문제 등의 국면들을 다룬다. 이를 통해 영상언어를 습득하고, 교감성을 높여주는 원형적 이야기체 형태의 비쥬얼 스토리를 창작하도록 한다. | |||||||||
FTM3050 | 스튜디오촬영워크숍 | 3 | 6 | 전공 | 학사 | 4 | - | No | |
촬영기초 1,2를 기반으로 영화 및 타 미디어 제작을 위한 전문적인 카메라 사용법을 배운다. 스튜디오 현장에서 쓰이는 카메라와 조명의 운영방법을 배워 더욱 효과적이고 다양한 영상표현을 카메라를 통해 할 수 있도록 집중적인 실습과정을 운영한다. | |||||||||
FTM3054 | 다큐멘터리워크숍 | 3 | 6 | 전공 | 학사 | 3 | 한 | Yes | |
다큐멘터리 장르가 함의하는 본질을 파악하여 자신의 주제를 구체화한다. 매체간의 차이점을 조명하여 적합한 구성을 선별하고 토의를 통해 콘티를 적합하게 수정한다. 최종적으로 실제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이해하고 다큐멘터리의 내러티브 기능에 대해 고찰한다. | |||||||||
FTM3060 | 애니메이션연출 | 3 | 6 | 전공 | 학사 | 1-4 | 한 | Yes | |
애니메이션의 역사와 표현의 세계를 이해하고 다양한 상상력과 기법에 접근한다. 실사기법을 활용하는 픽셀레이션에서 2차원, 3차원의 키프레임 애니메이션 및 복합 미디어(Mixed Media)까지 스토리라인을 중심으로 다양한 표현을 실험한다. | |||||||||
FTM3066 | 트랜스미디어스토리텔링 | 3 | 6 | 전공 | 학사 | 1-4 | 한 | Yes | |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수업은 하나의 스토리를 다양한 플랫폼에서 콘텐츠화하는 스토리텔링의 원칙에 대한 수업이다. 1)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정의 및 기존 개념들과의 차별성 2) 각각의 미디어에 적합한 스토리로 발전시키는 기준 | |||||||||
FTM3067 | 방송포맷디자인워크숍 | 3 | 6 | 전공 | 학사 | 2-4 | 한 | Yes | |
ICT의 발전은 사람들이 지금까지 알지 못했던 새로운 문명의 이기를 지속적으로 생산해 내는 상황이다. 이 중 일부는 잠시 주목을 받다가 사라지기도 하고 일부는 우리 삶의 중요한 부분이 되기도 한다. 콘텐츠 전문가로써 영상학과의 학생들은 이러한 뉴미디어가 어떤 의미를 가지며 어떤 콘텐츠가 필요하고 어떤 경험을 줄 것인가를 판단하고 전략을 세우는 능력이 필요하다. 본 과정에서 학생들은 새로운 미디어를 분석하고 그 용도를 예측하며 프로토타입을 제작하는 경험을 학습한다. | |||||||||
FTM3070 | 영상학현장실습5 | 9 | 18 | 전공 | 학사 | 3-4 | - | No | |
학생들이 산업현장에서 직접 실습하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졸업 후 실무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 |||||||||
FTM3071 | 영상학현장실습4 | 5 | 10 | 전공 | 학사 | 3-4 | - | No | |
학생들이 산업현장에서 직접 실습하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졸업 후 실무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 |||||||||
FTM3072 | 영화기획제작워크숍 | 3 | 6 | 전공 | 학사 | 3-4 | - | No | |
영화산업에서 영화제작과정 실무에 관하여 다룬다. 영화제작의 시작인 기획에서부터 예산과 로케이션, 스케줄 관리까지의 과정을 이끌기 위한 예산에 따른 기획업무 및 시나리오 해체(Script break-down)와 같은, 현장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실무적인 방안을 연구한다. | |||||||||
FTM3073 | TV드라마워크숍 | 3 | 6 | 전공 | 학사 | 3-4 | 한 | Yes | |
오늘날의 방송산업은 TV는 물론 웹환경까지 넓게 펼쳐져있으나 형태적 측면에서는 TV시대의 양식에 의존하고 있다. 본 수업에서는 TV시대의 전통적 포맷인 시리즈형태의 드라마의 구조를 학습 후, 학생들이 직접 자신의 작품을 구상하고 변화하는 방송환경에 적합한 진화된 구조를 만들어보는 시간을 갖는다. 기획이 완료된 작품은 서로의 비평과 함께 더욱 발전할 것이다. | |||||||||
FTM3077 | 영상학현장실습3 | 4 | 8 | 전공 | 학사 | 3-4 | - | No | |
학생들이 산업현장에서 직접 실습하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짐으로서 졸업 후 실무에서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 |||||||||
FTM3089 | 대중매체미학 | 2 | 4 | 전공 | 학사 | 4 | - | No | |
다양한 동영상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매체가 산출하는 이미지를 미학적으로 해석한다. 미학에 대한 기존의 전통적 사유를 유보하고 새롭게 등장하는 영상매체 플랫폼과 연관해 미학에 대한 새로운 논의의 틀을 찾아가도록 한다. | |||||||||
FTM3090 | 세계관디자인워크숍 | 3 | 6 | 전공 | 학사 | - | No | ||
콘텐츠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디자인 된 세계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이야기를 도출해 낼 수 있는 환경을 디자인하는 데 있다. 본 과정에서는 이야기의 세계를 디자인하는 방법과 어떻게 이야기 프랜차이즈를 구축할 수 있는가에 대한 실습과 이론을 학습한다. | |||||||||
FTM3092 | 캡스톤디자인졸업작품워크숍Ⅰ | 3 | 6 | 전공 | 학사 | 한 | Yes | ||
영상학과 학생들은 모두 수료해야 하는 과정으로 1학기, 여름방학, 그리고 2학기 등 1년여의 과정을 통해, 제작의 전반적인 과정을 경험하고 완성도 있는 작품을 제작, 연말 학과 영상제에서 상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프리 프로덕션, 프로덕션, 포스트 프로덕션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진행하여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법을 배우며 주어진 시간과 자원을 잘 활용하여 완성도 있는 작품을 만들어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 |||||||||
FTM3093 | 캡스톤디자인졸업작품워크숍Ⅱ | 3 | 6 | 전공 | 학사 | 한 | Yes | ||
영상학과 학생들은 모두 수료해야 하는 과정으로 1학기, 여름방학, 그리고 2학기 등 1년여의 과정을 통해, 제작의 전반적인 과정을 경험하고 완성도 있는 작품을 제작, 연말 학과 영상제에서 상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프리 프로덕션, 프로덕션, 포스트 프로덕션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진행하여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법을 배우며 주어진 시간과 자원을 잘 활용하여 완성도 있는 작품을 만들어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 |||||||||
FTM3094 | 영상산업의비즈니스와문화 | 3 | 6 | 전공 | 학사 | - | No | ||
졸업 후 연관 산업에 종사 한다고 할 때 해당 산업의 실체를 이해하고 이론적으로 습득한 것이 현업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학습할 기회를 다음의 두 주제를 중심으로 학습한다. "비지니스로서 영상산업의 실체" "문화로서 영상산업의 실체" 영화, 에니메이션-웹툰포함, 방송-ott포함 을 중심으로 해당분야에 대한 비지니스 측면과 문화 측면을 통해 직업 선택과 수행시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식을 제공 | |||||||||
FTM3095 | OTT드라마기획워크샵 | 3 | 6 | 전공 | 학사 | 한 | Yes | ||
영상 콘텐츠 소비의 새로운 플랫폼으로 자리 잡은 OTT를 기반으로 시청자들의 새로운 요구를 담는 드라마를 기획하는 워크샵을 진행한다. | |||||||||
FTM3096 | 사회적실험과영상 | 3 | 6 | 전공 | 학사 | - | No | ||
국내 외, 우리 사회의 당면한 다양한 이슈를 추상화 된 환경에서 구현하고 이를 영상에 담아 상영하는 과정을 실습한다. 주제에 대한 시각을 확보하고 해석하는 능력과 연출 방안을 연구하며 실험과 수정을 통해 의도한 결과를 도출한다. 본 과정은 포맷화 된 콘텐츠, 관찰 다큐멘터리, 기능성게임 요소를 종합한다. | |||||||||
FTM3097 | 캡스톤게임워크샵 | 3 | 6 | 전공 | 학사 | 한 | Yes | ||
최신 비디오 게임의 게임플레이 디자인과 레벨디자인, 아트 디자인, 캐릭터 디자인과 스토리텔링 디자인 등의 분석을 통한 이해를 추구한다. 실질적 기획과 다양한 미디어를 통한 제작의 경험으로 게임의 구조와 설계의 핵심 요소들을 이해한다. | |||||||||
FTM3098 | 숏폼플랫폼과MCN콘텐츠 | 3 | 6 | 전공 | 학사 | 2-4 | 한 | Yes | |
숏폼콘텐츠 산업을 구성하는 다양한 플랫폼과 이를 이루는 콘텐츠의 유형과 문화에 대한 이해화 MCN과 같이 상업화, 산업화 모델을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며 학습한다. | |||||||||
FTM3099 | 게임설계와창작 | 3 | 6 | 전공 | 학사 | 1-4 | 한 | Yes | |
로블록스, 마인크래프트 또는 포트나이트 크리에이티브와 같은 오픈 게임엔진이나 유니티의 완성형 게임 template를 활용하여 활용하여 게임 콘텐츠를 설계하고 구현하는 과정의 수업이다. 게임 제작 과정은 기술의 발달과 함께 점점 쉬워지고 있다. 유니티나 언리얼 등의 전문 게임 엔진을 활용한 웰메이드 게임의 등장 이후 누구나 유튜브에 영상을 올리듯 게임을 만들어 배포하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본 과목은 높은 수준의 프로그래밍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게임 디자인을 시도해볼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 수업을 통해 오픈게임엔진 또는 유니티의 코드없는 개발과정을 다룰 예정이며, 그 과정에서 다양한 게임 인터렉션을 기획하고 구현함으로써 게임 디자인과 제작의 기초를 쌓을 수 있다. | |||||||||
FTM3101 | 버추얼프로덕션워크샵 | 3 | 6 | 전공 | 학사 | 2-4 | 한 | Yes | |
실시간 렌더링 기반 각종 솔루션을 사용해 실제와 디지털 효과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필름메이킹 프로세스의 개념을 이해하고 부분적인 실습을 통해 실제 응용가능한 부분과 확장가능성에 대해 이해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