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piring Future, Grand Challenge

Search
Close
Search
 

학사과정

  • home
  • 학사과정
  • 의상학과
  • 교육과정

의상학과

교과목명을 클릭하시면 과정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교육과정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자기
학습
시간
영역 학위 이수
학년
비고 언어 개설
여부
FDM3077 의상학현장실습1 1 2 전공 학사 3-4 - No
섬유패션 산업체, 박물관, 또는 관련 정부단체에서의 인턴쉽의 경험을 통해 전공 교과에서 습득한 지식을 반복 학습하고 산업 현장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FDM3078 의상학현장실습2 2 4 전공 학사 3-4 - No
섬유패션 산업체, 박물관, 또는 관련 정부단체에서의 인턴쉽의 경험을 통해 전공 교과에서 습득한 지식을 반복 학습하고 산업 현장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FDM3079 의상학현장실습3 3 6 전공 학사 3-4 - No
섬유패션 산업체, 박물관, 또는 관련 정부단체에서의 인턴쉽의 경험을 통해 전공 교과에서 습득한 지식을 반복 학습하고 산업 현장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FDM3081 천연염색과한복 3 6 전공 학사 3-4 Yes
한복의 고유한 배색과 아름다움을 이해하기 위하여 전통색을 홍, 청, 황, 흑 등의 계열색으로 나누어 , 염재, 소재, 매염제 등을 다양하게 변주하여 염색한다. 유물복식의 색상과도 비교하며 펜텀, 컬러칩, Lab값도 확인한다. 이후 자신의 한복디자인과 악세서리, 문화상품에 염색된 소재를 응용하여 다양하게 구성하고 포토폴리오를 작성한다.
FDM3082 에스닉코스튬 3 6 전공 학사 3-4 Yes
세계 각국의 민족들은 각각 그들 나름대로의 민속의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서양복식사, 한국복식사의 기초 위에 기타 여러 나라들의 복식사를 더욱 학문적으로 체계화시키고 그 여러 나라들의 민속의상을 기초로 하여 새로운 현대적 디자인을 제작한다.
FDM3083 한복구성스튜디오 3 6 전공 학사 3-4 Yes
기초한복구성의 심화과정으로 실제 한복의 제작과정을 통하여 우리 옷이 지닌 멋과 아름다움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생활화할 수 있도록 현대화된 한국의상을 창작을 목표로 한다.
FDM3087 패션과지식재산권 3 6 전공 학사 3-4 - No
섬유패션기업의 경영과 패션 작품의 창작 활동 시 제기될 수 있는 상표권, 디자인권, 특허, 실용신안권 및 저작권 등에 관한 지식재산권 일반에 대한 개념에 대해 학습하고, 업계에서 발생하는 사례 분석을 통해 섬유패션기업의 지식재산경영 전략과 지식재산권 확보에 대하여 연구한다.
FDM3088 패션이미지표현 3 6 전공 학사 1-4 Yes
이 과목은 스토리텔링을 함축적인 패션이미지로 표현하는 이미지맵작업과 패션디자인 구성요소를 이용한 디자인적 표현을 도식화하는 방법을 학습함으로써 패션디자인 작업의 기초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디자인 요소를 활용한 다양한 패션디자인작업을 통해 디자인 표현 방법을 능숙하게 다룰 수 있게 한다.
FDM3091 의상학현장실습4 5 10 전공 학사 2-4 Yes
섬유패션 산업체, 박물관, 또는 관련 정부단체에서의 인턴쉽의 경험을 통해 전공 교과에서 습득한 지식을 반복 학습하고 산업 현장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FDM3092 패션크리에이티브디렉션 3 6 전공 학사 3-4 Yes
패션커뮤니케이션에서의 크리에이티브 디렉션의 역할을 탐구하고 실험하는 교과목으로, 학생들은 뉴미디어와 전통적 미디어에 걸쳐 창의적인 결과물을 생산하는 지식과 기술을 개발한다. 본 수업에서의 크리에이티브 디렉션은 의도하는 메시지를 명확하고 강렬하게 전달하면서도 소비자의 주목과 관심을 끌기위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의 전략적 사용을 일컫는다. 패션커뮤니케이션에서의 사회문화 트렌드, 글로벌화,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영향이 본 교과에서 중심적으로 다루어진다.
FDM3094 재킷코트패턴설계구성 3 6 전공 학사 3-4 Yes
어패럴 패턴 개발 및 구성의 고급과정으로서, 재킷과 코트의 패턴을 설계하고 그 구성 테크닉을 습득한다. 재킷과 코트류 창작 및 개발 시 요구되는 소재의 선택과 스펙 작성, 그리고 공업적 생산 방법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이해를 목표로 한다.
FDM3096 패션소재품질평가 3 6 전공 학사 - No
섬유, 실, 패브릭, 패션 제품의 여러 가지 성능 실험을 통해 국내외 품질표시, 품질관리 평가 기준, 치수 관련 기준, 섬유제품 취급 방법 등을 학습하며 패션 제품의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고품질 의류제품 생산을 위한 품질관리와 품질 평가방법의 사례분석에 대한 포트폴리오를 작성한다.
FDM3097 테크니컬소재와가공 3 6 전공 학사 Yes
패션산업이 고부가가치화, 글로벌 생산, 기업의 사회적 책임증가와 지속 가능한 패션과 텍스타일이 요구되어 지고 있음에 따라 고감성, 고기능, 친환경 소재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테크니컬 소재의 기술을 이해하고, 신소재에 사용된 가공 원리와 방법을 실험을 통해 학습한다.
FDM3098 패션머천다이징기획 3 6 전공 학사 Yes
패션 산업의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지고 소비자 욕구가 빠르게 변화되면서 패션 브랜드가 명확한 브랜드 컨셉을 세우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이 과목에서는 차별화된 패션 브랜드 기획을 위한 환경과 소비자 분석과 국내외 브랜딩 사례를 조사한다. 이를 토대로 학생들은 패션 브랜드 전략 기획의 여러 단계를 포함한 패션브랜드 전략 기획 포트폴리오를 작성한다.
FDM3099 디지털패션커뮤니케이션 3 6 전공 학사 1-4 - No
본 교과는 디지털 미디어 프랙티스와 패션 커뮤니케이션을 결합하는 수업으로, 학생들은 실험적인 미디어 테크닉과 및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패션 내러티브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무빙 이미지를 만든다. 본 교과는 디지털 PR을 위한 에디팅 기술, 디지털 스토리텔링, 패션필름과 더불어 미디어 기획, 크리에이티브 디렉션, 그리고 패션미디어 프로덕션에 초점을 맞춘다. 본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온라인, 비디오, 소셜미디어에 관한 이해를 높이고 이미지와 테크놀로지를 통해 커뮤케이션을 창조 및 고양하는 방법을 터득하게 된다.
FDM3101 디지털패션디자인 3 6 전공 학사 2-4 Yes
이 교과목은 가상으로 패션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3D 클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디자인을 개발하는 작업과, 일러스트레이터 프로그램으로 디자인 아이디어를 도식화로 표현하는 작업으로 구성된다. 3D 클로 프로그램은 패션 아이템을 아바타에 착의시키는 가상착의 실습으로 이루어지며, 도식화 작업은 일러스트레이터 프로그램으로 여러 패션 아이템을 표현하는 것으로 진행된다.
FDM3102 디지털패션상품기획 3 6 전공 학사 3-4 Yes
본 과목은 패션상품을 기획하는 과정인 트렌드 조사, 마켓과 소비자 분석, 제품 개발 및 유통단계에 활용되는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학습하고, 패션상품 기획과 첨단 테크놀로지를 효율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DM3104 생산관리와테크니컬디자인 3 6 전공 학사 3-4 Yes
의류제품의 품질 관리 및 대량생산을 위한 치수체계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제품의 치수 측정, 작업지시서의 작성에 요구되는 테크니컬 스케치, 그레이딩 등 생산과 품질관리에 관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다.
FDM3105 제로웨이스트패션캡스톤디자인 3 6 전공 학사 1-4 Yes
본 교과는 지속가능한 패션에 대한 핵심 개념과 실용적 접근법을 이론과 실습을 통해 소개한다. 실습 워크숍을 통해 학생들은 업사이클링, 제로 웨이스트 패턴 커팅, 의류 생애 주기 등을 탐구한다. 본 교과는 패션디자인에서의 자원 낭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업사이클링, 제로 웨이스트 패턴 커팅, 폴딩, 모듈러 커팅, 서브트랙션 커팅과 같은 기법을 포함한 제로 웨이스트 패션디자인을 위한 종합적인 방법론을 개발한다. 이러한 방법론을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은 계획된 디자인과 우연히 발견한 디자인 모두를 창출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패션에서 제로 웨이스트 실천의 적용을 촉진하고 섬유 폐기물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FDM3122 어패럴패턴그레이딩 3 6 전공 학사 3-4 Yes
어패럴 캐드 시스템의 운용 원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산업패턴 개발과 컴퓨터 패턴 그레이딩의 사이즈 전개 원리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다.
FDM3187 패션테크닉크리에이션 3 6 전공 학사 2-4 Yes
본 교과목은 원단의 랩핑, 패턴의 크기 변경, 트위스트, 개더, 드레이프 등의 디자인 표현 기법을 익히고, 익힌 기법을 활용한 디자인 아이디어를 통해 작품 개발을 목표로 한다. 창의적인 디자인 아이디어는 다양한 디자인 테크닉을 통해 입체적인 디자인 사고와 실험적인 시도로 발전시킬 수 있다. 본 과정에서는 원단의 물성을 고려한 패턴변형 작업과 봉제작업으로 디자인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고 작품으로 제작한다.
FDM7002 패션데이터시각화연구 3 12 전공 학사/석사/박사 1-8 의상학과 Yes
이 수업에서는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적 수단을 이용하는 방법을 익히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 시각화에 대한 이론적인 기초를 습득하고, 정보를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습득하고자 한다.
FDM7003 패션정보분석과디지털기술특론 3 12 전공 학사/석사/박사 1-8 의상학과 Yes
패션 시장의 브랜드 전략 및 포지셔닝, 마케팅 믹스, 고객 관련 데이터를 조사하고 분석하는데 중점을 둡니다.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시각 자료를 제작하는 디자인 원칙과 관련 프로그램의 활용에 대해 다룹니다. 
FDM7004 남성복치수표준과패턴설계 3 6 전공 학사/석사/박사 1-4 의상학과 - No
남성의 체형과 의복 사이즈 체계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캐주얼과 정장류 상하의 아이템별 패턴 설 계의 방법을 학습한다.
FDM7100 남성복패턴과테일러링연구 3 6 전공 학사/석사/박사 1-8 의상학과 - No
남성복의 구성 원리와 다양한 체형에 따른 패턴 설계 및 보정, 테일러링 기법에 대한 기술을 습득하고 품질 평가에 대한 지식과 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FDM7101 드레이핑테크닉특론 3 6 전공 학사/석사/박사 의상학과 - No
디자이너의 패션 아이디어를 구체화 할 수 있도록 고도의 드레이핑 테크닉을 익히고, 드레이핑 기법을 활용한 패션 디자인의 가능성에 대해 탐구한다.
FDM7102 패션브랜드IP전략 3 6 전공 학사/석사/박사 의상학과 Yes
지식재산권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패션 비즈니스 현장에서 제기되는 지식재산권 분쟁 사례들에 대해 살펴보고, 기업의 브랜드력 제고의 전략으로서 권리 획득과 침해 방지 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FDM7103 특수소재디자인패턴연구 3 6 전공 학사/석사/박사 1-8 의상학과 Yes
가죽, 밍크, 특수 가공 처리 원단 등 다양한 패션 소재의 미적·물리적 특성에 대해 학습하고, 이들을 고려한 패턴 설계의 원리와 기술에 대해 연구한다.
FDM7104 패션디자인생산QC특론 3 6 전공 학사/석사/박사 1-8 의상학과 - No
패션제품에 적용되는 소비자 보호 및 품질 관련 규정에 대해 학습하고, 제품력 제고를 위한 디자인 및 제품 품질평가에 대해 연구한다.
ISS3213 International Business and Management 3 6 전공 학사 1-4 국제하계대학 Yes
This is a sophomore- or junior-level undergraduate course in international business (IB) strategy, with a focus on the foundations of global corporate success of large multinational enterprises (MNEs). The course has three main goals. First, it provides a critical overview of the most influential international business strategy literature with a focus on both conceptual and managerial insights. This overview should help undergraduate students obt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mplexity and the challenges associated with managing a large multinational network. Second, it aims to prepare undergraduate students for a professional career in an MNE by focusing primarily on the dynamic components of international business strategy and the change processes associated with such strategy. Third, the course aims to develop some practical communication skills, namely through preparing and making case presentations.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main sources of MNEs’ global corporate success is indispensable for further understanding the critical roles of MNEs as the most significant catalysts for innovation through collaboration in the world market. The course consists of twenty six formal sessions held over a period of four weeks (block course format) as shown in the general course outline, followed by the possibility to interact with the instructor on case analysis presentations. During the formal sessions, there will be a mix of presentations by the instructor (this should c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