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명을 클릭하시면 과정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학수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자기 학습 시간 |
영역 | 학위 |
이수 학년 |
비고 | 언어 |
개설 여부 |
---|---|---|---|---|---|---|---|---|---|
FDM2024 | 고급의복구성 | 3 | 6 | 전공 | 학사 | 2-3 | 한 | Yes | |
본 강좌는 서양 여성복 구성을 위한 3학점 고급 실기과정으로 기초과정에서 학습한 의복구성의 원리와 개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추상적인 패션아이디어를 구체적인clothing object 와 apparel product로 재현할 수 있는 창작 능력의 향상을 목표로 한다. 즉, 기본 상의 원형, 소매, 스커트, 팬츠 원형을 이용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여성복 패턴을 개발하고 제작하는 과정에서 서양 여성복에 대한 패턴 구성의 원리와 디자인에 따라 요구되어지는 적절한 의복의 구조, 고급 봉제기법, 그리고 여성복의 quality를 평가할 수 있는 안목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디자인의 상의 및 하의 패턴에서 요구되어지는 스타일여유 및 활동여유분에 관한 감각을 익히며, 디자인 원리에 입각하여 조화로운 비례와 균형, 맞음새에 대한 감각을 발달시킬 수 있다. | |||||||||
FDM2025 | 패션디자인아이디어발상론 | 3 | 6 | 전공 | 학사 | 2-3 | 한 | Yes | |
이 과목은 디자인 아이디어를 개발, 발전시키는데 중점을 두며 더불어 디자인, 드로잉, 아이디어 발표 기술을 향상시킬 것이다. | |||||||||
FDM2026 | 니트디자인 | 3 | 6 | 전공 | 학사 | 2-3 | - | No | |
니트 직조의 기초적인 과정을 습득하여 니트의 생산기법을 익히고 디자인하여 니트웨어 컬렉션을 완성하고 제작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 |||||||||
FDM2027 | 패션스타일링 | 3 | 6 | 전공 | 학사 | 1-4 | 한 | Yes | |
본 교과는 패션 이미지와 비주얼 전문가로서 패션 컨셉을 바탕으로 아웃핏을 스타일링하고 패션이미지를 창조하는 데 중점을 둔다. 학생들은 인쇄 및 온라인 패션 잡지, 광고 캠페인, 상업 광고, 전자상거래, 룩북, 패션쇼, 패션 필름, 개인 고객을 위한 스타일링, 프로덕션, 아트 디렉팅을 경험한다. 강좌 전반에 걸쳐 학생들은 패션 스타일리스트가 영감을 찾고, 리서치를 수행하고, 상업적 및 창의적 브리프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며, 다양한 스타일링 프로젝트를 보여주는 스타일링 포트폴리오를 완성한다. | |||||||||
FDM2034 | 패션디자인표현 | 3 | 6 | 전공 | 학사 | 2-4 | - | No | |
본 교과목에서는 패션디자인 컨셉의 개념을 이해하고 다양한 패션이미지 맵 작업으로 컨셉을 시각화하는 작업을 할 것이다. 또한, 트렌드의 개념과 속성을 익히고 디자인 트렌드를 시각화하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패션디자인 컨셉과 컬러기획, 소재기획, 아트워크기획 직업을 목표로 한다. | |||||||||
FDM2035 | 어패럴패턴CAD베이직 | 3 | 6 | 전공 | 학사 | 2-3 | 한 | Yes | |
기성복의 대량 생산을 위한 기획과 설계 단계를 중점으로 살펴본다. 기획과 설계 단계에서 사용되는 어패럴 캐드 시스템의 운용원리를 이해하고 컴퓨터 패턴 개발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는 기초 기술을 습득한다. | |||||||||
FDM2081 | 3D패션디자인씽킹 | 3 | 6 | 전공 | 학사 | 1-2 | 한 | Yes | |
패션은 3D 형태의 인체에 입혀지는 매체이다. 패션디자인 개발은 2D의 디자인으로 또는 입체적인 디자인 사고로 3D 형태로 디자인을 개발할 수도 있다. 본 교과목은 원단, 중고 의류를 이용해 입체적인 사고로 디자인을 3D형태로 구상하고, 더불어 2D의 디자인 작업을 3D로 구현하는 기술을 익혀 실질적인 제작과정 없이 가상으로 디자인을 구현할 것이다. | |||||||||
FDM2082 | 펀더멘탈패션디자인 | 3 | 6 | 전공 | 학사 | 1-2 | - | No | |
본 교과목은 패션디자인을 구성하는 요소와 디자인 원리를 통해 디자인 스킬을 익히는 패션디자인의 기초과정이다. 실루엣, 디테일, 트리밍, 색, 소재, 문양 등 디자인 요소의 개념과 종류를 익히고 리서치를 통한 디자인 아이디어를 디자인에 적용하는 실기작업으로 이루어진다. | |||||||||
FDM2084 | 디지털패션일러스트레이션 | 3 | 6 | 전공 | 학사 | 1-4 | 한 | Yes | |
디지털패션일러스트레이션은 패션디자인, 생산, 마케팅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샘플과 카탈로그 뿐 아니라 패션잡지 및 소셜미디어 광고 등에 사용된다. 본 교과를 통해 학생들은 디지털 포맷의 다양한 일러스트레이션과 프리젠테이션 스타일을 탐색한다. 어도비 포토샵과 일러스트레이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컨셉 일러스트레이션과 테크니컬 드로잉을 실습하며, 창의적 프로세스를 보완하기 위해 디지털 앱 사용과 모션 아트도 다룬다. 학생들은 패션 피겨 드로잉, 패브릭 렌더링, 의복 행동 등을 연습하며 궁극적으로 자신만의 크리에이티브 디지털 패션포트폴리오를 완성한다. | |||||||||
FDM2085 | 현대사회와패션 | 3 | 6 | 전공 | 학사 | 한 | Yes | ||
본 교과는 디자이너 시스템, 셀러브리티, 정체성, 정치, 예술, 미디어 등의 영향력이 어떻게 패션을 형성하는가를 탐구한다. 강의, 필름 시청, 발표, 토론, 팀프로젝트, 개별 연구 등을 통해 학생들은 어떻게 현대 패션시스템이 파리 쿠튀르로부터 글로벌 현상으로 전개되어 왔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중요한 동시대 문화로서의 패션을 이해한다. 본 교과를 통해 학생들은 패션을 통해 전통과 혁신, 창의성과 테크놀로지, 로컬리즘과 글로벌리제이션, 정체성과 다양성, 권력과 몸 등이 동시대 사회에서 강조되고 해석되는 방식을 이해한다. | |||||||||
FDM2090 | 패션그래픽스 | 3 | 6 | 전공 | 학사 | 2-4 | 한 | Yes | |
패션과 비주얼 커뮤니케이션의 접점을 탐구하는 본 교과는 시각적 내러티브를 의복에 표현함으로써 학생들의 창의성과 기술적 숙련도를 함양한다. 스케치와 디지털 렌더링을 통해 패션 그래픽 컨셉을 시각화한 후 이를 착용 가능한 유형(有形)의 의복 위에 형상화한다. 본 교과에서 학생들은 패션디자인에서 사용하는 자수, 열전사, 실크 스크린 프린팅, 디지털 프린팅, 아플리케 등의 폭넓고 다양한 써피스 트리트먼트를 통해 자신의 패션 아이디어를 실물로 해석한다. | |||||||||
FDM2457 | 디지털패션마케팅 | 3 | 6 | 전공 | 학사 | 1-2 | 한 | Yes | |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유통업계에 혁신적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패션 산업은 이러한 변화의 최전선에 있으며, 생성 AI, 빅데이터, 그리고 리테일 테크(Retail Tech)의 도입은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가고 있습니다. 본 과정은 이러한 디지털 혁신 속에서 국내외 성공 및 실패 사례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실무적 역량을 배양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본 수업은 디지털 리테일링의 정의와 필수 개념을 탐구하며 현재와 미래의 디지털 리테일 환경을 폭넓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생성형 AI의 혁신적 사례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고객 여정(Customer Journey)을 설계하는 방법을 학습합니다. 고객 맞춤형 경험 설계는 학생들에게 차별화된 경쟁력을 제공합니다. 본 수업은 강의, 사례 연구, 토론, 그리고 실전 중심의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Based Learning)을 결합하여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합니다. 특히 고객 관점의 워크샵을 통해 문제 정의, 아이디어 개발, 솔루션 제안, 비주얼 작업 등 과정을 직접 경험하며 학습 내용을 체화합니다. 단순히 그룹으로 모여 조별 작업을 하는 것이 아니라, 최신 디지털 혁신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강의 내용을 직접 적용하고 실습해서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실행 가능한 비즈니스 수준으로 높이는 워킹 백워드(Working Backwards) 방식을 적용합니다. | |||||||||
FDM2458 | AI패션이미지 | 3 | 6 | 전공 | 학사 | 1-4 | 한 | Yes | |
본 교과는 인공지능을 혁신적으로 활용하여 창의적인 패션 비주얼을 창조하는 방법을 탐구한다. 학생들은 AI 도구와 기법을 활용하여 패션 이미지를 생성, 조작 및 향상시키는 방법을 실습한다. 본 과정은 컨셉 비주얼리제이션, 시각적 스토리텔링,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패션 광고 제작을 중심으로 진행되며, 학생들에게 창의적 한계를 시험하고 패션 이미지 제작 프로세스를 혁신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제공한다. | |||||||||
FDM2459 | 패션액세서리디자인 | 3 | 6 | 전공 | 학사 | 한 | Yes | ||
이 교과목은 가방, 스카프와 같은 액세서리를 디자인하고 제작하는 실기 수업으로, quilting, padding, draping, tucking, layering, hand & bead embroidery, paper stenciling 등의 다양한 표현 기법을 원단을 활용하여 제작한다. 학생들은 자석 closure, 지퍼 디테일, 혼합 미디어 기법의 실습을 통해 액세서리의 기능적, 미적 요소를 익힌다. 또한, 각종 패턴 제작, 원단 선택, 봉제 기술을 다루어, 에코백, 토트백, 파우치 등 다양한 종류의 가방과, 여러 디자인 형태의 스카프를 개발한다. 이 수업은 디자인 과정에서 창의성과 기술적 완성도를 동시에 추구하며, 학생들은 개인 프로젝트로 자신만의 독창적인 디자인을 구상하고 피드백을 통해 디자인 역량을 강화한다. 완성된 작품은 전시 발표를 통해 공개된다. | |||||||||
FDM3001 | 한국복식사 | 3 | 6 | 전공 | 학사 | 3-4 | 한 | Yes | |
한국복식에 대한 재인식과 더불어 그 복식에 대한 시대적인 변천과정을 통하여 상고시대로부터 고구려, 백제, 신라, 그리고 고려에서 조선에 이르기까지의 시대복식을 고찰한다. 정치, 사회, 문화와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를 함으로써 한국 복식의 문화사를 학문적으로 깊이있게 정립시킨다. 동시에 한국 복식의 형태를 세계적인 의상유행감각에 맞도록 유도시키는 바탕을 마련한다. | |||||||||
FDM3002 | 동양복식사 | 3 | 6 | 전공 | 학사 | 3-4 | 한 | Yes | |
동양의 복식 문화사를 그 사회문화적인 배경과 관련하여 연구한다. 중국 및 인도, 그리고 기타 다른 동양의 복식을 연구하여 이를 응용하여 현대적 디자인에 응용한다. | |||||||||
FDM3009 | 패션아트워크 | 3 | 6 | 전공 | 학사 | 2-4 | - | No | |
이 교과목에서는 gathering, shirring, pleating, tucking, smocking, quilting, stuffing과 같은 fabric manipulation의 다양한 아트워크 기법을 봉제 작업을 통해 구현하고, 창의적인 기법 개발을 적용한 패션 소품 개발을 할 것이다. 또한, 패턴변형 작업을 통한 디자인 발상 과정을 거쳐 의상 작품 개발을 목표로 한다. | |||||||||
FDM3010 | 패션포트폴리오 | 3 | 6 | 전공 | 학사 | 3-4 | 영 | Yes | |
디자인 컨셉트, 현재 시장에 대한 이해, 일러스트레이션 테크닉 등 학생 개개인의 패션 디자인 세계를 가장 효율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과정이다. | |||||||||
FDM3014 | 위빙과니팅 | 3 | 6 | 전공 | 학사 | 3-4 | 한 | Yes | |
직물과 편성물의 조직 및 직기의 구조를 이해하고 수직기를 이용하여 기본조직 및 변화조직에 대한 실습을 통하여 각종 디자인의 직물을 제작할 수 있는 응용능력을 기른다. | |||||||||
FDM3028 | 하이패션테일러링테크닉 | 3 | 6 | 전공 | 학사 | 3-4 | - | No | |
고급의상과 특수 창작의상의 컨셉과 디자인을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소재의 선정, 패턴 설계, 재단, 제작을 통해 테일러링 테크닉을 익히고 패션 아이디어를 구현할 수 있는 창작성을 함양을 목표로 한다. | |||||||||
FDM3032 | 리테일바잉 | 3 | 6 | 전공 | 학사 | 3-4 | 영 | Yes | |
본 수업은 패션과 소매업 분야에서 상품관리 원칙과 적용하고 소매 매입 전력을 개발하는데 중점을 둡니다. 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의류 및 기타 소비재 소매 상품의 소매업에서 계획, 구매, 협상, 가격 책정, 관리 및 판매 프로세스의 핵심 요소를 이해해 할 수 있다. 본 수업은 강의, 컴퓨터 랩 실습, 참여형 수업 토론등을 통해 진행되며 학생들은 상품 기획을 위한 기본 재무관리 능력을 키우며 상품관리의 기본 개념을 통합하여 합리적인 상품관리 전략을 기획하고 실행한다. | |||||||||
FDM3034 | 패션마케팅 | 3 | 6 | 전공 | 학사 | 3-4 | - | No | |
패션마케팅은 패션산업이 표적고객을 만족시키고 고부가가치 패션산업으로 전환하는데 필수적인 패션제품, 가격, 판촉, 유통정책을 수립하는데 필수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이러한 개념을 적용시킨다. | |||||||||
FDM3037 | 패션리테일링 | 3 | 6 | 전공 | 학사 | 3-4 | 한 | Yes | |
패션 리테일링에서는 최근 패션 유통의 중심이 되는 패션 소매업의 기본개념과 패션 리테일링 전략과 유통정보 시스템에 대해 익힌다. | |||||||||
FDM3053 | 패션비즈니스이해 | 3 | 6 | 전공 | 학사 | 2-3 | 영 | Yes | |
학생들은 현대 패션 산업을 형성하는 소재산업, 여성복, 남성복, 아동복 산업과 화장품 산업 그리고 국내외 패션 비즈니스 현황 등을 관련 원서 강독과 사례를 중심으로 배워 현대 패션 산업의 흐름을 익히게 된다. | |||||||||
FDM3054 | 패션산업과소비자행동 | 3 | 6 | 전공 | 학사 | 3-4 | 영 | Yes | |
본 수업은 의류 및 패션 제품에 대한 소비자 결정 과정 및 해당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사회과학에서 유도된 개념과 이론을 적용하여 의류 및 장신구와 관련된 소비자 행동 프로세스를 연구할 것이다. 강의, 수업 토론, 케이스 스터디, 팀프로젝트 등을 통해 학생들은 이론적 기반을 습득하는 데 그치지 않고 패션 비즈니스와 소비자 행동의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영역에서 성공하기 위해 필수적인 비판적 사고와 실무 기술을 함양할 것이다. | |||||||||
FDM3063 | 패션광고및판매촉진 | 3 | 6 | 전공 | 학사 | 3-4 | 한 | Yes | |
21세기 고부가가치 패션 비즈니스를 수행하는데 필수적인 패션 판촉(광고, 홍보, 인적판매) 과 Visual merchandising에 필수적인 전략을 사례분석과 실제 기획을 통해 익히게 된다. | |||||||||
FDM3064 | 패션창업디자인생산QC | 3 | 6 | 전공 | 학사 | 3-4 | - | No | |
패션제품의 개발과 생산을 둘러싸고 제기되는 제반 이슈와 애로사항을 학습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함으로써 예비 패션전문가들의 창업 능력과 제품력 제고를 목적으로 한다. | |||||||||
FDM3067 | 큐레이터와복식문화 | 3 | 6 | 전공 | 학사 | 1-4 | 한 | Yes | |
실물 복식의 자료에 관하여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살피고, 유물 조사방법, 자료의 정리 및 데이터구축방법, 물리화학적인 보존처리법, 보수기법 등을 습득한다.. 박물관과 연계하여 실물을 직접다루며 실습에 직접 참여한다. 또한 복식의 원형보존을 위한 .복원재현도 시도한다. | |||||||||
FDM3068 | 남성복패턴과테일러링 | 3 | 6 | 전공 | 학사 | 3-4 | 한 | Yes | |
남성복의 구성 원리와 다양한 체형에 따른 패턴 설계 및 수정의 디테일, 테일러링 기법, 그리고 남성복의 품질을 평가할 수 있는 안목과 기술을 습득한다. | |||||||||
FDM3075 | 버추얼패션프로젝트 | 3 | 6 | 전공 | 학사 | 2-4 | - | No | |
이 교과목은 가상의상을 제작하는 심화 과정으로, 개별 디자인 개발을 가상착의 작품으로 구현하기 위해 패턴제작을 통한 의상 개발과, 액세서리 개발을 통한 스타일링 작업으로 진행된다. 의상 디자인 개발은 의상의 구성 원리와 디자인 디테일의 표현, 원단의 물성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이루어지며, 또한 가상 공간 제작과 작품의 시각적 표현을 위한 조명 사용, 아바타 맞춤 제작, 렌더링, 애니메이션 제작 등을 학습한다. 개발한 작품은 온라인으로 발표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