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piring Future, Grand Challenge

Search
Close
Search
 

대학원과정

  • home
  • 대학원과정
  • 의상학과
  • 교육과정

의상학과

교과목명을 클릭하시면 과정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교육과정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자기
학습
시간
영역 학위 이수
학년
비고 언어 개설
여부
FDM7003 패션정보분석과디지털기술특론 3 12 전공 학사/석사/박사 1-8 Yes
패션 시장의 브랜드 전략 및 포지셔닝, 마케팅 믹스, 고객 관련 데이터를 조사하고 분석하는데 중점을 둡니다.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시각 자료를 제작하는 디자인 원칙과 관련 프로그램의 활용에 대해 다룹니다. 
FDM7004 남성복치수표준과패턴설계 3 6 전공 학사/석사/박사 1-4 - No
남성의 체형과 의복 사이즈 체계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캐주얼과 정장류 상하의 아이템별 패턴 설 계의 방법을 학습한다.
FDM7100 남성복패턴과테일러링연구 3 6 전공 학사/석사/박사 1-8 - No
남성복의 구성 원리와 다양한 체형에 따른 패턴 설계 및 보정, 테일러링 기법에 대한 기술을 습득하고 품질 평가에 대한 지식과 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FDM7101 드레이핑테크닉특론 3 6 전공 학사/석사/박사 - No
디자이너의 패션 아이디어를 구체화 할 수 있도록 고도의 드레이핑 테크닉을 익히고, 드레이핑 기법을 활용한 패션 디자인의 가능성에 대해 탐구한다.
FDM7102 패션브랜드IP전략 3 6 전공 학사/석사/박사 Yes
지식재산권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패션 비즈니스 현장에서 제기되는 지식재산권 분쟁 사례들에 대해 살펴보고, 기업의 브랜드력 제고의 전략으로서 권리 획득과 침해 방지 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FDM7103 특수소재디자인패턴연구 3 6 전공 학사/석사/박사 1-8 Yes
가죽, 밍크, 특수 가공 처리 원단 등 다양한 패션 소재의 미적·물리적 특성에 대해 학습하고, 이들을 고려한 패턴 설계의 원리와 기술에 대해 연구한다.
FDM7104 패션디자인생산QC특론 3 6 전공 학사/석사/박사 1-8 - No
패션제품에 적용되는 소비자 보호 및 품질 관련 규정에 대해 학습하고, 제품력 제고를 위한 디자인 및 제품 품질평가에 대해 연구한다.
SOA4002 인공지능과예술 3 6 전공 학사/석사 1-4 예술대학 일반대학원 Yes
이 강좌는 인공지능의 정의와 트렌드,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예술분야의 변화 가능성 등 단순히 새로운 기술로서의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를 넘어 문화기술(CT)로서의 인공지능과 딥러닝에 대한 이해를 돕고, 직접 실습하고자 한다. 예술 분야에서 핵심 기술-예술 융합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인공지능, 기계학습, 딥러닝에 대한 지식을 학습하고 실제로 이 수업에서 활용해보고자 한다.
SOA4004 다원예술캡스톤디자인 3 6 전공 학사/석사 예술대학 일반대학원 Yes
이 수업은 최근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장애인 예술(Ableart)을 인문학적이고 사회적인 시점에서 다각도로 분석하고 실제 퍼포먼스와 전시 등 현장 실습활동을 통해 장애인 예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장애인 예술을 기획 실행하는 창의적인 실기 능력을 함양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학생들은 이 수업을 통해 다양한 사회 구성원들과 예술을 통해 융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나아가 세계적인 예술가로 거듭날 수 있도록 그 토대를 다지게 될 것이다. 이 수업은 단순히 복지 개념으로서 장애인 예술을 바라보는 것이 아닌 사회 구성원 모두의 특성과 장단점을 이해하고 포용할 수 있는 환대와 공존을 통해 이전에는 없는 새롭고 창의적인 다원 예술로 발전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다원예술은 한국에서 기존에 없던 독특하고 창의적인 예술 형식을 지칭하기 위해 만들어진 용어로 이 수업은 기존의 장애인 예술을 분석하여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려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전공의 예술대학 학생들이 서로의 협업하여 각자의 전공에 대한 장점을 살리면서 효율적으로 팀원들과 소통하고 의견을 조율하는 능력을 키우고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 수업 초반(1주 차~5주 차)에는 한국의 장애인 예술에 대한 경향과 국제적인 흐름을 이론적으로 학습하고 과거에서 현재까지 어떠한 방식으로 장애인 예술이 발달되어 왔는지 분석하고 토론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것이다. 수업 중반(6주 차~9주 차)에는 한국의 장애인 미술, 연극, 영화 등에서 보이는 실제 현장 담론과 예술 활동에 대해 영상 사진 자료로 학습할 것이다. 이때 현장 전문가의 특강과 현장 실습이 일부 수업에 포함될 예정이다. 수업 후반(10주 차~15주 차)에는 장애 예술가들과의 협업을 통해 전시와 공연 퍼포먼스를 만드는 실습 과정을 통해 실제로 작품을 만들면서 이론적인 부분에서 머물지 않고 실제 현장 경험과 실기 실습을 통해 자신만의 예술 세계를 확장해 나갈 것이다.
SOA4005 인공지능창작윤리와비평적시각 3 6 전공 학사/석사 예술대학 일반대학원 Yes
인공지능의 개념과 역사에 대해 개략적으로 소개하고 기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이 예술창작에 적용되었을 때 발생하는 윤리적 쟁점들, 저작권 문제, 사례연구 등에 대해 전반적으로 다룬다.
SOA4006 AI를활용한창의적게임디자인 3 6 전공 학사/석사 예술대학 일반대학원 - No
게임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 소개하고, 게임창작에 있어서 AI의 역할과 가능성을 탐구해나가며 게임제작의 기본적인 원리 및 디자인의 과정을 학습할 수 있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