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명을 클릭하시면 과정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학수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자기 학습 시간 |
영역 | 학위 |
이수 학년 |
비고 | 언어 |
개설 여부 |
---|---|---|---|---|---|---|---|---|---|
FDM5148 | 패션융합디자인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 | No | ||
패션과 예술, 패션과 사이언스, 패션과 필름 등 학제간 패션디자인의 사례 연구를 통해 융합을 통한 새로운 접근법 탐구를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사례에 대한 맥락적 인식, 제작 과정, 리서치, 작품 분석을 포함한 비평적 분석이 이루어진다. | |||||||||
FDM5149 | 패션마켓과빅데이터세미나 | 3 | 12 | 전공 | 석사/박사 | 1-8 | - | No | |
이 교과목은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방법을 익혀 디지털 환경에서의 패션시장 트렌드와 소비자 니즈를 파악하는 역량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인 R을 활용한 패션 소셜 데이터 추출과 오피니언 분석, 네트워크 분석, 토픽모델링 등 다양한 텍스트마이닝 기법의 이론 및 분석 방법론에 대해 학습한다. | |||||||||
FDM5150 | 디지털패션마케팅커뮤니케이션특론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 | No | |
4차 산업혁명으로 21세기 패션 산업의 패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는 양방향적 디지털 미디어의 활용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이 과목에서는 기존의 전통적 패션 광고 및 판촉의 이론적 틀을 넘어서 SNS, Chatbot, AR/VR, 메타버스같은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효율적 패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관련 전문지식과 실행능력을 익히고자 한다. | |||||||||
FDM5151 | 패션비지니스창업론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한 | Yes | |
본 과목에서는 디지털 시대 패션 산업의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 사례들을 탐구하여 혁신적 창업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창의적인 사업적 사고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
FDM5152 | 빅데이터패션마케팅세미나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 | No | ||
본 세미나는 패션산업이 디지털화되면서 패션기업들이 혁신적 마케팅 역량을 갖추기 위해 필수적인 빅데이터 이론과 분석 skill을 익히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학생들은 이 과목을 통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최신 연구 동향과 관련 사례분석을 통해 실무적 역량을 키우고자 한다. | |||||||||
FDM5153 | 하이엔드어패럴패턴설계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 | No | ||
대량양산의 의류 생산에 요구되는 고급 패턴 설계 테크닉에 대해 학습한다. 체형과 디자인의 원리 및 소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창의적인 어패럴 패턴을 설계, 제작하고 스타일과 맞음새를 평가·분석한다. | |||||||||
FDM5154 | 패션과예술문화트렌드연구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 | No | ||
이 교과목은 현대 예술, 문화, 패션산업의 트렌드와 현상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현대 사회의 변화된 환경에서 새로운 형식의 예술과 패션이 트렌드로 제시되는 현상을 파악하기 위해 사례를 조사하고 구체적인 분석방법을 익혀 개별연구로 진행된다. | |||||||||
FDM5155 | 인간중심패션디자인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 | No | ||
지속가능성, 테크놀로지, 공공미학 등을 주제로 한 사용자 중심의 패션사례를 분석하고, 디자인 개발 단계에서 사용자 요구와 피드백의 과정을 거쳐 사용자 중심의 가치를 부여한 텍스타일, 디바이스, 의상 등의 패션디자인 개발을 제시하는 연구 과정임. 민족지학적 리서치, 경험 디자인, 기술 통합의 인간중심 디자인 사례를 조사하고, 학생들 각자의 연구주제를 정하여 인간중심 디자인을 개발하는 과정을 수행함. | |||||||||
FDM5157 | 지속가능한패션문화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 | No | ||
본 교과는 어떻게 지속가능성이 패션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하며 패션과 지속가능성의 맥락에서의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문화적인 아젠다를 탐색한다. 첫째, 의복의 라이프 사이클에 걸친 패션제품의 변화와 함께 소재, 생산, 유통, 사용 및 재사용에서의 혁신을 다룬다. 둘째, 물질적 산물을 저감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등 패션시스템을 근본적으로 더욱 지속가능하게 변화시키는 아이디어를 탐색한다. 셋째, 제품을 디자인하는 역할을 넘어 커뮤니케이터와 액티비스트로 변모한 디자이너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지속가능한 패션시스템을 위한 패션디자이너의 역할은 무엇인지 고찰한다. | |||||||||
FDM5159 | 패셔놀로지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 | No | ||
본 교과는 패션스터디즈 중에서도 패션의 사회학 입문 과정으로, 패션의 생산과 유통, 확산, 수용, 채택, 소비 과정에서 나타나는 패션의 사회적 특성을 살펴본다. 본 교과는 패션에 관한 사회학적 담론을 바탕으로 패션 시스템 내에서 패션의 생산과 전파에 관여하는 디자이너, 에디터, 바이어, 광고주 등 패션 전문가의 역할 뿐 아니라 패션을 수용하고 채택하는 소비자의 역할도 살펴본다. 나아가 대안적 패션 시스템으로서의 하위문화 패션 그리고 테크놀로지가 패션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다. 패션스터디즈의 선구적인 저작뿐 아니라 최근의 이슈까지 개괄하고, 패션을 사회학적으로 어떻게 논의해야 하며 현재 어떤 이슈가 제기되고 있는지 살펴본다 | |||||||||
FDM5160 | 크리에이티브패션믹스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 | No | ||
본 교과목은 직관적으로 디자인 아이디어를 개발할 수 있는 드레이핑 방법을 통해 아이디어를 실험하고 시각화하는 작업으로 구성된다. twisting, folding, gathering, layering과 같은 다양한 기법을 믹스한 실험적인 디자인을 실물로 제작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디자인 아이디어를 발상하는 학습 기회를 가진다. 이러한 기법을 응용하여 디자인을 개발하고 작품의 제작 및 발표를 목표로 한다. | |||||||||
FDM5161 | AI와패션마케팅세미나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8 | 한 | Yes | |
이 과목은 인공지능(AI)이 패션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합니다. 학생들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패션 디자인, 마케팅, 생산 및 유통을 혁신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또한, 디지털 환경에서의 소비자 행동과 시장 변화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문적 지식을 기르며 실무적 감각을 키웁니다. 수업에서 학생들은 인공지능이 패션 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층 토론을 하며 학술지 등을 통해 중심 이론을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패션 혁신 프로젝트를 수행합니다. | |||||||||
FDM5163 | 패션투어리즘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5 | - | No | |
본 교과는 패션투어리즘의 이론적 기초와 비판적 관점을 탐구하며, 패션이 여행 경험과 목적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한다. 학생들은 다양한 이론적 틀을 사용하여 패션, 관광, 문화, 정체성의 교차점을 분석하고, 패션투어리즘이 글로벌 도시와 지역 사회에 미치는 사회경제적 및 문화적 영향을 비판적으로 평가한다. 본 교과를 통해 학생들은 지역 패션 커뮤니티를 지원하고 홍보하는 패션투어리즘 및 도시 브랜딩 전략을 개발한다. | |||||||||
FDM5164 | 패션디지털리서치방법론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5 | 한 | Yes | |
본 교과는 패션스터디즈(fashion studies)와 디지털 연구 방법론의 교차점, 특히 네트노그래피(netnography)와 텍스트 마이닝(text-mining)에 중점을 두고 탐구한다. 학생들은 디지털 플랫폼과 온라인 커뮤니티가 현대 패션 트렌드와 소비자 행동을 어떻게 형성하고 반영하는지 고찰한다. 본 교과를 통해 학생들은 네트노그래피를 수행하고 텍스트 데이터 세트에서 인사이트를 추출하는 데 필요한 이론적 기초와 실용적 테크닉을 학습한다. 강의, 실습 프로젝트, 사례 연구의 조합을 통해 학생들은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여 패션 현상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방법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얻는다. | |||||||||
FDM5165 | AI&3D버추얼패션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8 | 한 | Yes | |
이 교과목은 디자인 기획(디자인 컨셉 설정, 컬러, 소재, 스타일 기획), 일러스트레이션과 도식화, 3D 디자인 시뮬레이션 작업으로 구성된 패션디자인 개발 과정을 AI 프로그램으로 작업하여 포트폴리오를 제작한다. 이어서, 3D CLO 가상착의 프로그램을 활용한 디자인 구현과 랜더링을 통한 작품발표를 목표로 한다. | |||||||||
FDM5167 | 패션디자인질적연구방법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8 | - | No | |
본 교과목은 패션디자인 분야에서 연구되는 다양한 질적연구 방법들의 종류와 내용을 익히고, 개별 연구주제에 적합한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학술 논문 완성을 목표로 한다. 다양한 자료 수집 방법을 익히고, 질적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수집한 자료를 체계적으로 코딩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 수행한다. | |||||||||
FDM5186 | 디지털패션디자인전략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8 | 한 | Yes | |
본 교과목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첨단 기술과 접목하여 급변하는 패션 디자인의 미래를 탐구하는 데 중점을 둔다.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과 같은 첨단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환경에서의 패션 디자인 발전 가능성을 이해하고 특히, 가상 공간 내 패션 디자인 개발과 관련된 최신 기술 및 활용 방안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에서 패션의 새로운 표현 방식을 연구한다. 교과목에서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통해 각 주제에 대해 전략적 과제를 도출하며, 혁신적이고 실용적인 패션 디자인 솔루션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이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실제 산업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기술적 이해와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패션 디자인 트렌드와 미래 발전 방향을 예측하고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 |||||||||
FDM5187 | AI패션믹스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8 | - | No | |
본 교과목은 AI 기술과 패션 디자인의 융합을 통해 창의적인 패션 디자인을 실현하는 과목이다. AI 기반 디자인 툴을 활용해 트렌드 분석 및 소비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혁신적인 패션 아이템을 기획하고 제품을 개발함으로써 소규모 브랜드의 창업을 시뮬레이션 한다. 이 과정을 통해 디지털 패션 디자인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고, AI를 활용한 패션 디자인과 기획의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 |||||||||
FDM5190 | 패션디자인씽킹프로젝트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8 | 한 | Yes | |
본 교과목은 실제 패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창의적 접근 방식을 디자인씽킹프로세스를 통해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개별 학생들은 패션디자인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내고,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여 실제 디자인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한다. | |||||||||
FDM5192 | 패션액티비즘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8 | 한 | Yes | |
본 교과는 패션, 사회 정의, 그리고 액티비즘의 접점을 탐구하며, 패션이 변화를 촉진하는 강력한 매체가 될 방법을 살펴본다. 학생들은 지속 가능성, 노동권, 성평등, 다양성, 문화적 재현 등의 글로벌 이슈를 해결하는 데 있어 패션의 역할과 사례를 분석한다. 이 과정은 패션을 사회적 옹호의 플랫폼으로 활용하는 전략에 중점을 두며, 학생들이 패션산업의 규범에 도전하고 긍정적인 사회적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창의적이고 영향력 있는 해결책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다. | |||||||||
FDM5194 | 디지털패션내러티브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8 | 한 | Yes | |
본 교과는 디지털 미디어 프랙티스와 패션 커뮤니케이션을 결합하는 수업으로, 학생들은 실험적인 미디어 테크닉과 및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패션 내러티브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무빙 이미지를 제작한다. 본 교과는 디지털 PR을 위한 에디팅 기술, 디지털 스토리텔링, 패션필름과 더불어 미디어 기획, 크리에이티브 디렉션, 그리고 패션미디어 프로덕션에 초점을 맞춘다. 본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온라인, 비디오, 소셜미디어에 관한 이해를 높이고 이미지와 테크놀로지를 통해 커뮤케이션을 창조 및 고양하는 방법을 터득하게 된다. | |||||||||
FDM5196 | 패션커뮤니케이션연구방법론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8 | - | No | |
본 교과는 패션커뮤니케이션과 디지털 연구 방법론의 교차점, 특히 텍스트 마이닝, 네트노그래피, 질적연구방법에 중점을 두고 탐구한다. 학생들은 디지털 플랫폼과 온라인 커뮤니티가 현대 패션 트렌드와 소비자 반응을 어떻게 형성하고 반영하는지 고찰한다. 본 교과를 통해 학생들은 면접의 실시와 분석, 네트노그래피 수행, 텍스트 데이터 세트에서의 인사이트 추출 등에 필요한 이론적 기초와 실용적 테크닉을 학습한다. 강의, 실습 프로젝트, 사례 연구의 조합을 통해 학생들은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여 패션 커뮤니케이션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방법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얻는다. | |||||||||
FDM5198 | 패션과게임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8 | - | No | |
본 교과는 패션과 게임의 관계를 중심으로 비판적이고 이론적인 차원을 탐구하며, 게임 메커니즘과 패션 소비자 인게이지먼트 통합의 문화적, 사회적, 윤리적 함의를 고찰한다. 학생들은 다양한 이론적 틀을 사용하여 ‘게임 내 패션’, ‘패션게임’, ‘패션 게이미피케이션’이 패션산업 내 정체성, 소비 및 권력 역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 |||||||||
FDM5210 | 현대패션세미나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8 | 한 | Yes | |
본 교과는 현대 사회에서 패션이 정체성의 지표로서 수행하는 복잡한 역할을 연구한다. 학생들은 패션이 다양한 문화적, 사회적, 정치적 맥락에서 개인적 및 집합적 정체성을 표현하고 구성하며 협상하는 중요한 도구로 기능하는 방식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본 교과는 패션이 젠더, 인종, 계급 등의 개념과 어떻게 교차하는지 살펴보며, 패션이 사회적 정체성과 권력관계를 어떻게 반영하고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한다. 문헌 고찰, 사례 연구, 현대 패션의 예시를 통해 학생들은 패션이 개인과 집단이 자신의 정체성을 주장하고, 규범적인 기준에 도전하며, 문화적 헤게모니에 저항하는 매개체로서 어떻게 기능하는지 조사한다. | |||||||||
FDM5212 | 문화와패션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8 | 한 | Yes | |
본 교과는 현대 사회에서 패션, 하위문화, 문화전유, 그리고 문화정체성의 교차점을 비판적으로 탐구한다. 다학제적인 시각을 통해 학생들은 패션이 다양한 문화적 맥락에서 정체성, 소속감, 그리고 저항을 표현하고 협상하는 강력한 도구로 작용하는 방식을 고찰한다. 본 교과는 하위문화가 형성되어 패션에 의해 전파되는 방식을 분석하는 한편 글로벌화된 패션 환경에서 문화 교류와 전유의 역학을 연구한다. 연구 주제는 소외된 집단이 패션을 통해 문화적 정체성을 주장하고 지배적인 내러티브에 도전하는 방식과, 패션산업에서 논란이 되는 문화 전유의 관행을 포함한다. | |||||||||
FDM5214 | 패션시스템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8 | - | No | |
본 교과는 사회학자 유니야 카와무라(Yuniya Kawamura)가 저서 패셔놀로지(Fashion-ology)에서 제시한 "패션시스템" 개념을 비판적으로 탐구한다. 카와무라의 이론은 패션을 단순한 문화 현상이나 예술적 표현으로 보는 전통적인 관점을 넘어서, 생산, 유통, 소비의 글로벌 네트워크에 깊이 뿌리내린 복잡하고 역동적인 시스템으로 고찰한다. 본 교과는 학생들에게 패션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양한 상호 연관된 요소들, 즉 디자이너, 제조업체, 미디어, 소비자, 유통업자 등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강의, 사례 연구, 그리고 패셔놀로지의 비판적 읽기를 통해 학생들은 패션산업의 권력 역학과 제도적 힘에 대한 통찰을 얻게 된다. | |||||||||
FDM5216 | 다양성과패션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8 | - | No | |
본 교과는 젠더, 인종, 연령, 신체사이즈, 장애 등 다양성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글로벌 패션산업 내에서 다양성이 교차하는 방식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본 교과는 이러한 사회적 범주들이 패션의 생산, 소비, 그리고 표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며, 산업 내 포용성을 형성하는 요소를 탐구한다. 학생들은 사례 연구, 미디어 분석, 현재 산업 동향을 통해 패션이 사회적 규범에 도전하고 강화하는 방식을 탐색한다. 주요 주제로 신체 이미지 기준의 변화, 광고, 런웨이 쇼, 브랜드 캠페인에서 소외된 정체성의 표현 등을 다룬다. 본 교과는 학생들이 패션산업의 사회적 책임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포용적 실천이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평가하며, 패션 내에서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을 촉진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한다. | |||||||||
FDM5218 | 패션미디어연구방법론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8 | - | No | |
본 교과는 패션미디어 연구를 위한 연구방법론을 포괄적으로 탐구한다. 학생들은 이를 디지털 패션미디어, 특히 소셜미디어 플랫폼과 패션 블로그 분석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배운다. 본 교과는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다루며, 패션 기사, 광고 콘텐츠, 소셜미디어 게시물과 같은 대규모 데이터셋에서 의미 있는 패턴과 트렌드를 추출하는 방법을 다루며, 온라인 커뮤니티에 문화기술지 방법론을 적용한 질적 연구 접근법인 네트노그라피를 적용한다. 학생들은 패션미디어에서 패션 소비자의 행동을 관찰하고 분석하며 해석하는 능력을 키우고, 디지털 환경에서 패션이 어떻게 논의되고 소비되며 매개되는지에 대한 통찰을 얻는다. | |||||||||
FDM5219 | 디지털미디어의패션이미지표현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 | No | ||
본 교과목은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의 패션 이미지 표현과 그 이미지가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디지털 미디어의 다양한 플랫폼(소셜 미디어, 웹사이트, 블로그, YouTube, Instagram 등)이 패션 이미지와 메시지를 어떻게 생성하고 전달하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개인과 집단의 정체성은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디지털 미디어에서의 패션 표현이 성별, 인종, 나이대 등 다양한 사회적 요인들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그리고 그것이 사회적 규범과 문화적 가치가 어떻게 구축되는지에 대해 다룬다. 각 학습자는 세부 연구주제를 설정하고 보다 깊이 있는 연구수행을 위해 인터뷰와 FGI, 현장 관찰 등의 프로젝트 베이스로 진행한다. | |||||||||
FDM7002 | 패션데이터시각화연구 | 3 | 12 | 전공 | 학사/석사/박사 | 1-8 | 한 | Yes | |
이 수업에서는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적 수단을 이용하는 방법을 익히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 시각화에 대한 이론적인 기초를 습득하고, 정보를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습득하고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