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piring Future, Grand Challenge

Search
Close
Search
 

대학원과정

  • home
  • 대학원과정
  • 디자인학과
  • 교육과정

디자인학과

교과목명을 클릭하시면 과정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교육과정
학수번호 교과목명 학점 자기
학습
시간
영역 학위 이수
학년
비고 언어 개설
여부
DES5081 스마트미디어디자인 3 6 전공 석사/박사 1-4 Yes
커뮤니케이션미디어의 발달에 따라 스마트TV, 모바일 등 UX환경변화에 적응, 다양한 Device에 대응하는 일관된 User Interface Design의 기획을 연구한다.
DES5082 CMC브랜드이미지전략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본 과목에서는 Branding, Campaign, Advertising, Social Media(Twitter, facebook, Youtube, etc...), Mobile, Viral등 CMC 전반영역의 브랜드 이미지사례분석과 전략을 학습하게 된다. 본 학습을 통해 우리는 Consumer와 어떻게 소통하고 경험을 나누어야 하는지 알게 될 것이다.
DES5083 크리에이티브디자인사유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본 과목에서는 디자인 전공은 물론이고 창의적 발상이 필요한 예술분야에 걸쳐Creative의 원형을 찾고 분석하여 혁신적인 해결안을 경험하게 하는 융합방법을 경험하게 된다. 본 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실용화를 위해 어떻게 준비하고 접근해야 하는지 알게 될 것이다.
DES5084 디자인과사회문화비즈니스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매체 및 제품, 서비스 등 영역별 디자인의 한계에서 벗어나 새로운 사업모델을 발굴, 통합적 사업계획서 작성, 브랜드설계 및 디자인아이덴티티 전략 수립 및 디자인매뉴얼 작성
DES5085 크리에이티브프로젝트 3 6 전공 석사/박사 1-4 - No
다양한 매체에 적용할 독창적인 비쥬얼 연구를 통하여 개성 있고 창의적인 비쥬얼을 연구하여 시각매체에 접근하는 연구과정이다.
DES5086 텍스타일프로덕트디자인 3 6 전공 석사/박사 - No
1.텍스타일 디자인프로세스에의한 디자인 개발과 이에 따른 제품디자인을 제안 한다. 2.글로벌 소비자 경험과 감성 트렌드 리서치 결과를 키워드로 정리하고 선행연구로 텍스타일 마케팅에 대한 기본 연구를 습득한다.
DES5087 글로벌트렌드세미나 3 6 전공 석사/박사 - No
1..글로벌 소비자 경험과 감성 트렌드 리서치 결과를 키워드로 정리한다. 2. CMF요소로 디자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DES5088 CMF&소비자경험 3 6 전공 석사/박사 - No
1.Color, Material, Finish의 감성적 요소로 디자인의 품질을 끌어 올릴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2.글로벌 소비자 경험과 감성 트렌드 리서치 결과를 키워드로 정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DIM5006 실감미디어콘텐츠워크샵1 3 6 전공 석사/박사 1-4 실감미디어공학과 - No
본 과목은 실감미디어 콘텐츠의 실례들을 살펴보고 특히 예술과 접목된 실감미디어 콘텐츠의 기획 및 제작의 과정을 경험하도록 돕는다.
ERP4001 창의심화탐구 3 6 전공 학사/석사 교무팀 교육연구 - No
이 과목은 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를 병행하는 교과목으로서, 연구수행능력을 일정 수준 갖춘 학사과정생들을 중심으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학사과정생이 자율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고자 설계되었다. 학생들은 과학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한 인문사회, 문화예술 분야의 융합과 통섭을 기반으로 과학적 탐구력과 창의적 문제해결역량 신장에 적합한 창의 주제 탐구 수행한다. 또한 본 과목은 학제간 융합주제에 대한 교육-탐구설계-수행-논문지도-결과발표에 이르는 전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FDM5192 패션액티비즘 3 6 전공 석사/박사 1-8 의상학과 Yes
본 교과는 패션, 사회 정의, 그리고 액티비즘의 접점을 탐구하며, 패션이 변화를 촉진하는 강력한 매체가 될 방법을 살펴본다. 학생들은 지속 가능성, 노동권, 성평등, 다양성, 문화적 재현 등의 글로벌 이슈를 해결하는 데 있어 패션의 역할과 사례를 분석한다. 이 과정은 패션을 사회적 옹호의 플랫폼으로 활용하는 전략에 중점을 두며, 학생들이 패션산업의 규범에 도전하고 긍정적인 사회적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창의적이고 영향력 있는 해결책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다.
FDM5210 현대패션세미나 3 6 전공 석사/박사 1-8 의상학과 Yes
본 교과는 현대 사회에서 패션이 정체성의 지표로서 수행하는 복잡한 역할을 연구한다. 학생들은 패션이 다양한 문화적, 사회적, 정치적 맥락에서 개인적 및 집합적 정체성을 표현하고 구성하며 협상하는 중요한 도구로 기능하는 방식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본 교과는 패션이 젠더, 인종, 계급 등의 개념과 어떻게 교차하는지 살펴보며, 패션이 사회적 정체성과 권력관계를 어떻게 반영하고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한다. 문헌 고찰, 사례 연구, 현대 패션의 예시를 통해 학생들은 패션이 개인과 집단이 자신의 정체성을 주장하고, 규범적인 기준에 도전하며, 문화적 헤게모니에 저항하는 매개체로서 어떻게 기능하는지 조사한다.
FTM5060 인터랙션:기술,예술,디자인 3 6 전공 석사/박사 1-4 영상학과 Yes
인터렉티브 미디어와 콘텐츠는 새로운 내러티브와 미학 그리고 ICT기술의 융합체이다. 본 교과과정에서는 인터렉션을 다학제적인 접근을 통해 사회적, 산업적 현상을 조망하고 다양한 장르와 매체에서 구현되는 인터렉션의 핵심 요소를 연구분석하고 융합의 조율자로서의 인터렉션 디자이너를 제시한다.
FTM5093 게임디자인연구 3 6 전공 석사 영상학과 Yes
이 강좌는 게임 산업의 역사와 현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게임 디자인과 인터렉션의 연구 방향성을 발굴할 수 있도록 한다. 디지털 게임의 디자인 요소, 제작 방법, 분석, 미학, 사회적 의미와 연관된 논문 주제를 발굴하고 연구를 진행한다.
FTM7003 AI기반스토리제작워크샵 3 6 전공 학사/석사/박사 1-2 영상학과 Yes
생성형 AI의 등장은 창의적인 분야에서 이미 여러 응용 가능성이 제기되고 어느 정도 활용되고 있다. 반면에 이미 어느 정도의 한계와 결과물에 대한 피로도도 감지된다. 창작자들에게 생성형 AI는 무시하기 힘든 역할을 해 줄 수 있다. 본 교과과정은 영상 분야의 전문가, 특히 이야기를 쓰고 연출하는 사람들이 생성형 AI를 어떻게 사용하여 생산성과 창의성을 높일 수 있을지, 일반인들과의 차이는 어떤 부분에서 드러나는지 실질적인 사용과 수정과 필요한 프레임 개발을 통해 연구한다.
GDN5002 게임리서치2 3 6 전공 석사/박사 게임디자인학과 Yes
게임과 관련된 학술적 이해와 제작 관련 요소, 산업 및 사회 관련 이슈, 미디어와 미래에 대한 다양한 주제 발굴 또 관련된 문헌과 사례 분석 그리고 각종 데이터를 분석하는 연구 방법론과 논문 집필, 투고와 수정까지의 과정을 공부한다.
GDN5003 게임디자인캡스톤프로젝트1 3 6 전공 석사 3-4 게임디자인학과 Yes
본 교과목은 게임디자인 분야에 관한 종합 설계를 수행하는 수업이다. 본 교육과정은 기본 1과 심화2로 나뉘어져 있다. 기본 1 수업에서는 졸업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제반 조사 및 리서치를 진행하고 이론과 사례 중심으로 솔루션 도출을 위한 사전 연구를 진행한다. 본 수업은 개설되는 시기에 따른 산업계의 요구나 시대적 흐름에 따른 게임디자인 관련 과제를 부여받아 다양한 open-ended solution을 모색, 디자인하고 실용적 활용이 가능한 수준으로 구현, 개선, 상용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제로 상용화 비전을 보여줄 수 있는 working prototype을 직접 준비하고 제작함으로 풀스택 게임디자이너로서의 자질과 소양을 연마하며, 실용적인 다학제 융합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본 교과목은 개설시기에 따라 유명 IP holder, 해외 유명 대학과 함께 진행될 수 있으며 팀단위로 기획 및 제작을 진행하여 학기말에 기업과 해외 대학에 경쟁 방식으로 프리젠테이션을 하거나 로드쇼 전시를 한다. 본 수업은 지도교수와 협력 회사의 전문가 그룹이 협동하여 지도할 수 있다.
GDN5004 게임디자인캡스톤프로젝트2 3 6 전공 석사 3-4 게임디자인학과 Yes
본 교과목은 게임디자인 분야에 관한 종합 설계를 수행하는 수업이다. 본 교육과정은 기본 1과 심화2로 나뉘어져 있다. 기본 1 수업에서는 졸업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제반 조사 및 리서치를 진행하고 이론과 사례 중심으로 솔루션 도출을 위한 사전 연구를 진행한다. 본 수업은 개설되는 시기에 따른 산업계의 요구나 시대적 흐름에 따른 게임디자인 관련 과제를 부여받아 다양한 open-ended solution을 모색, 디자인하고 실용적 활용이 가능한 수준으로 구현, 개선, 상용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제로 상용화 비전을 보여줄 수 있는 working prototype을 직접 준비하고 제작함으로 풀스택 게임디자이너로서의 자질과 소양을 연마하며, 실용적인 다학제 융합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본 교과목은 개설시기에 따라 유명 IP holder, 해외 유명 대학과 함께 진행될 수 있으며 팀단위로 기획 및 제작을 진행하여 학기말에 기업과 해외 대학에 경쟁 방식으로 프리젠테이션을 하거나 로드쇼 전시를 한다. 본 수업은 지도교수와 협력 회사의 전문가 그룹이 협동하여 지도할 수 있다.
SOA4002 인공지능과예술 3 6 전공 학사/석사 1-4 예술대학 일반대학원 Yes
이 강좌는 인공지능의 정의와 트렌드,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예술분야의 변화 가능성 등 단순히 새로운 기술로서의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를 넘어 문화기술(CT)로서의 인공지능과 딥러닝에 대한 이해를 돕고, 직접 실습하고자 한다. 예술 분야에서 핵심 기술-예술 융합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인공지능, 기계학습, 딥러닝에 대한 지식을 학습하고 실제로 이 수업에서 활용해보고자 한다.
SOA4003 글로벌게임캡스톤디자인 3 6 전공 학사/석사 1-4 예술대학 일반대학원 - No
최신 비디오 게임의 게임플레이 디자인과 레벨디자인, 아트 디자인, 캐릭터 디자인과 스토리텔링 디자인 등의 분석을 통한 이해를 추구한다. 실질적 기획과 다양한 미디어를 통한 제작의 경험으로 게임의 구조와 설계의 핵심 요소들을 이해한다.
SOA4004 다원예술캡스톤디자인 3 6 전공 학사/석사 예술대학 일반대학원 Yes
이 수업은 최근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장애인 예술(Ableart)을 인문학적이고 사회적인 시점에서 다각도로 분석하고 실제 퍼포먼스와 전시 등 현장 실습활동을 통해 장애인 예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장애인 예술을 기획 실행하는 창의적인 실기 능력을 함양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학생들은 이 수업을 통해 다양한 사회 구성원들과 예술을 통해 융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나아가 세계적인 예술가로 거듭날 수 있도록 그 토대를 다지게 될 것이다. 이 수업은 단순히 복지 개념으로서 장애인 예술을 바라보는 것이 아닌 사회 구성원 모두의 특성과 장단점을 이해하고 포용할 수 있는 환대와 공존을 통해 이전에는 없는 새롭고 창의적인 다원 예술로 발전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다원예술은 한국에서 기존에 없던 독특하고 창의적인 예술 형식을 지칭하기 위해 만들어진 용어로 이 수업은 기존의 장애인 예술을 분석하여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려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전공의 예술대학 학생들이 서로의 협업하여 각자의 전공에 대한 장점을 살리면서 효율적으로 팀원들과 소통하고 의견을 조율하는 능력을 키우고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 수업 초반(1주 차~5주 차)에는 한국의 장애인 예술에 대한 경향과 국제적인 흐름을 이론적으로 학습하고 과거에서 현재까지 어떠한 방식으로 장애인 예술이 발달되어 왔는지 분석하고 토론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것이다. 수업 중반(6주 차~9주 차)에는 한국의 장애인 미술, 연극, 영화 등에서 보이는 실제 현장 담론과 예술 활동에 대해 영상 사진 자료로 학습할 것이다. 이때 현장 전문가의 특강과 현장 실습이 일부 수업에 포함될 예정이다. 수업 후반(10주 차~15주 차)에는 장애 예술가들과의 협업을 통해 전시와 공연 퍼포먼스를 만드는 실습 과정을 통해 실제로 작품을 만들면서 이론적인 부분에서 머물지 않고 실제 현장 경험과 실기 실습을 통해 자신만의 예술 세계를 확장해 나갈 것이다.
SOA4005 인공지능창작윤리와비평적시각 3 6 전공 학사/석사 예술대학 일반대학원 Yes
인공지능의 개념과 역사에 대해 개략적으로 소개하고 기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이 예술창작에 적용되었을 때 발생하는 윤리적 쟁점들, 저작권 문제, 사례연구 등에 대해 전반적으로 다룬다.
SOA4006 AI를활용한창의적게임디자인 3 6 전공 학사/석사 예술대학 일반대학원 - No
게임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 소개하고, 게임창작에 있어서 AI의 역할과 가능성을 탐구해나가며 게임제작의 기본적인 원리 및 디자인의 과정을 학습할 수 있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