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명을 클릭하시면 과정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학수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자기 학습 시간 |
영역 | 학위 |
이수 학년 |
비고 | 언어 |
개설 여부 |
---|---|---|---|---|---|---|---|---|---|
FRE5020 | 영상문화비교세미나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프랑스어문학과 | - | No |
디지털 시대에 등장하는 사이버 이미지의 문제와 영상 이미지의 개념들을 총체적으로 살펴보며, 영상 문화를 해석하는 구체적인 방법론과 가능성을 연구한다. 문화 담론과 영화 담론 사이의 관계를 아울러 고찰한다. | |||||||||
FRE5022 | 프랑스지역학특강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프랑스어문학과 | - | No |
프랑스지역학은 국가라는 큰 범주에서 지역이라는 작은 범주로 프랑스에 연구범위를 좁히면서 프랑스인들이 실제적인 생활상과 문화예술 활동을 더욱 더 구체적으로 고찰하는 학문이다. 우리는 그러한 구체적 고찰을 통해 프랑스 문화의 다양한 층위를 이해하게 될 것이다. | |||||||||
FRE5025 | 프랑스공연예술과영상매체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프랑스어문학과 | - | No |
첨단기술과 커뮤니케이션 매체의 발달이 공연예술의 다양한 쟝르르 조화 혹은 변형시키고 아울러 새로운 형태로의 창작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Cine-th tre로부터 사이버 공간을 사용하고 더 나아가 영화와 비슷한 공연예술의 출현까지 프랑스의 새로운 공연예술을 분석·파악하는데 목적을 둔다. | |||||||||
FTM4027 | 감독론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1-4 | 영상학과 | 영 | Yes |
주요 영화감독들의 연출론을 다룸에 있어 시나리오에 대한 관여도와 스크린에 또다른 세계를 구현하는 그들만의 영상과 음향을 다루는 방식에 대해 논한다. 궁극적으로는, 이 시대 복잡하게 변화해가는 미디어콘텐츠 생태계에서 ‘감독이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져보는 수업. | |||||||||
FTM5057 | 게임과크리에이티브디자인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영상학과 | - | No |
게임은 이제 더 이상 유희적인 목적을 위해서만 존재하지 않으며 그 목적과 유형이 다양한 형식으로 표현되는 융합 예술로 인정받고 있다. 본 과정에서는 게임을 창의적 디자인을 위한 UX의 한 수단으로 보고 이를 통해 게임의 영역을 확장하여 다양한 상황에 창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사례를 발굴한다. | |||||||||
FTM5060 | 인터랙션:기술,예술,디자인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영상학과 | 한 | Yes |
인터렉티브 미디어와 콘텐츠는 새로운 내러티브와 미학 그리고 ICT기술의 융합체이다. 본 교과과정에서는 인터렉션을 다학제적인 접근을 통해 사회적, 산업적 현상을 조망하고 다양한 장르와 매체에서 구현되는 인터렉션의 핵심 요소를 연구분석하고 융합의 조율자로서의 인터렉션 디자이너를 제시한다. | |||||||||
FTM5065 | 네트워크와협력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영상학과 | 한 | Yes |
인터넷의 발전은 전 세계의 정보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어놓았고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는 사람들이 어디에 있든 접속해 있을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했다. 또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는 사람들의 관계를 온라인으로 가져갔다. 이러한 환경은 흥미로운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 과정은 이러한 온라인 환경이 가져오는 변화에 대해 논의한다. | |||||||||
FTM5069 | 캐릭터서사연구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영상학과 | 한 | Yes |
캐릭터 개발의 전반적인 작업, 연계 라인을 점검하고 효율적인 방안에 대하여 논의한다. 상품으로서의 캐릭터 가치를 높이기 위한 마케팅 방안을 연구하고 실제 적용 사례를 제시한다. | |||||||||
FTM5096 | 트랜스미디어론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영상학과 | 한 | Yes |
트랜스미디어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돕는다. 기존 미디어 문화사의 연장선상에 트랜스미디어를 위치시키고, 기존 미디어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며 현대의 복잡한 미디어 생태계에 대한 이해의 틀을 제공한다. | |||||||||
FTM5098 | 매체철학I:아트앤미디어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영상학과 | 한 | Yes | |
현대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매체 철학 강의 (1): ‘매체의 변화’를 중심으로 예술철학사를 살펴보며 현대의 문화콘텐츠를 둘러싼 주요 매체철학적 논의들을 살핀다. 영화와 TV 등의 매체를 통해 영상시대가 열렸고 바야흐로 가상세계를 매개하는 미디어가 소개되는 현대의 새로운 미디어 생태계의 통시적 조망을 위해 벤야민, 마노비치, 맥루한, 키틀러 등 ‘매체의 변화’를 논의의 핵심에 두었던 예술철학적 흐름을 연구한다. | |||||||||
GER4006 | 독문학연습 | 3 | 6 | 전공 | 학사/석사 |
3-4
1-4 |
독어독문학과 | - | No |
독일 문학 작품에 대한 연구의 가장 근본은 작품에 대한 자신의 이해이다. 작품에 대한 선지식을 갖지 않고 작품이해에 접근하는 여러 가지 모델을 작품을 읽고, 토론을 함으로써 정립해 나간다. 가능한 한 여러 작품을 토론의 대상으로 삼으며, 토론 대상에서 제외된 작품들에 대한 소개와 추천도 강의 내용에 포함된다. | |||||||||
GER5019 | 서구문예사조비교연구세미나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독어독문학과 | 한 | Yes |
세계 문학사에서 주요한 고전 작품을 강독하고, 고전주의, 낭만주의, 상징주의, 사실주의, 모더니즘 등과 같은 대표적인 문학 운동의 배경 및 발달과정을 비교 고찰한다. 이를 보다 심화하여 문학 작품의 비교 문화적 관점을 배양한다. | |||||||||
GER5020 | 독어문체론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독어독문학과 | - | No |
문체란 말에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듯이, 문체론 역시 객관적인 통계학적 방법에서부터 순수 미학적이며 주관적인 판단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관점들의 다양성을 개관함으로서, 어떤 점에서 그 내용이 서로 중첩이 되거, 서로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해 알아 본 후, 독일의 몇몇 대표적인 작가의 문체를 언어학적인 측면에 바탕을 두고 그 내용과 의미 효과에 있어서의 효율성을 연구한다. | |||||||||
IPA5028 | 세계공연예술사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한 | Yes | |
이 과목은 고대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공연예술의 역사를 극장의 발달을 중심으로 하면서 신고전주의, 낭만주의, 사실주의 그리고 20세기초의 주관주의와 후반의 절충주의 등을 포함하여 고찰한다. | |||||||||
IPA5048 | 예술경영세미나1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한 | Yes | |
정규 교과목에서 다루지 않는 예술경영에 관한 세미나 또는 개별 연구. 정규 교과목에서 다루지 않는 예술경영에 관한 세미나 또는 개별 연구. | |||||||||
IPA5052 | 예술특강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한 | Yes | |
이 수업을 위하여 격주로 학내.외에서 특별 강사를 초빙하여 예술의 특수 문제를 다룬다. 이 수업은 강의와 토론뿐 아니라 공연관람, 예술가를 초청한 마스터 클래스, 야외 견학 등을 포함한다. 학생들은 기말에 각자 선정한 주제를 가지고 한편씩의 논문을 제출해야 한다. | |||||||||
IPA5053 | 대중문화비평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한 | Yes | |
대중문화 속에서 생성되는 예술적 관점들을 살펴보며, 현대 소비 사회가 갖는 예술적 특성이 무엇인지를 아울러 고찰하고 토론한다. | |||||||||
IPA5055 | 예술미학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한 | Yes | |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현대의 포스트모더니즘에 이르기까지 예술에 관한 미학적 이론들을 개괄적 수준에서 이해토록 한다. | |||||||||
IPA5056 | 세계음악사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한 | Yes | |
10세기부터 현재까지의 서양음악의 역사와 이론적 개념들을 고찰하는 가운데 주요 작품들의 연구를 통하여 형식적, 양식적 문제들과 역사적, 문화적 바탕 속에서 대두하는 특수함 개념들을 이해토록 한다. | |||||||||
IPA5058 | 예술사회학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한 | Yes | |
역사적으로 예술과 사회와의 상관관계를 고찰하는 가운데 특히 현대의 민주적 도시 사회 속에서 양자가 서로의 발전에 어떻게 기여해 왔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 |||||||||
IPA5059 | 예술작품비평연구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한 | Yes | |
본 과목은 미술은 물론 연극, 뮤지컬, 오페라, 무용 등 기타 다양한 공연분야의 작품들에 대한 연구를 각 수강생의 관심분야를 바탕으로 작품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하며, 매주 위클리 페이퍼와 최종논문을 제출해야 한다. | |||||||||
IPA5060 | 예술교육연구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한 | Yes | |
이 수업은 교육적 도구로서의 예술의 특질을 고찰하는 가운데 예술교육의 방법론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 |||||||||
IPA5061 | 조형예술학특론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한 | Yes | |
이 수업은 조형예술에 대한 이론들을 작품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철학적, 미학적, 사회학적 측면으로 연구, 조명한다. | |||||||||
IPA5062 | 예술정책과제도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한 | Yes | |
본 과목은 1946년 정부수립 이후 한국에서의 전반적인 예술 활동에 대한 정부의 입법과 정책제도에 따른 제 문제를 사회 정치적 변화와 관련하여 고찰한다. | |||||||||
IPA5073 | 문화경제학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한 | Yes | |
문화산업의 개념, 문화산업의 개별 산업을 넘어서는 공통점, 주요 문화산업에서의 전략, 그리고 문화산업에서의 융합적 현상에 대하여 살펴보려 함. | |||||||||
IPA5080 | 문화융합비교연구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한 | Yes | |
융합콘텐츠 발전에 있어서 장르간의 상호영향을 구체적으로 고찰한다. 특히 20세기 전반의 문화적 영향관계를 주목한다. | |||||||||
IPA5083 | 예술학통계방법론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한 | Yes | |
최근 예술분야에서도 통계학적 분석은 매우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예술마케팅에 관심있는 학생들로 하여금 통계학의 기본 개념과 원칙을 이해하고 자료 분석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 |||||||||
IPA5084 | 예술학질적연구방법론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한 | Yes | |
이 수업은 최근 소비자들의 심층적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 수요가 증가하는 질적 연구 방법의 다양한 분야를 학생들에게 소개하고, 이를 이용하여 독자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기본기술 및 지식을 함양하도록 훈련시키고자 한다. | |||||||||
IPA5086 | 테크놀로지와문화예술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한 | Yes | |
이 수업은 21세기 문화예술을 이해하기 위해 예술과 기술의 융합에 대한 학습을 목표로 하며, 다양한 예술을 배경으로, 최근의 디지털 기술을 리뷰하고 예술과 디지털 기술을 포함하는 학제간 시각에서 문화예술을 살펴본다. | |||||||||
IPA5087 | 공연예술기획연구 | 3 | 6 | 전공 | 석사/박사 | 1-4 | 한 | Yes | |
공연예술의 여러 방면들 가운데서 학생들이 그들의 요구에 알맞은 연구주제를 선택하여 교수의 지도아래 공동연구를 행한다. 창작 작업도 연구주제로 선정할 수 있다. |